신화의 숲 - 신비로운 옛 신전이 품은 26가지 이야기 씨앗
김헌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 로마 신화 속 이야기는 언제 읽어도 흥미롭다. 위엄을 찾고, 뭔가 대단한 존재의 신이 아닌 인간보다 더 인간 같은, 때론 인간보다 더 한 신들의 모습이 다채롭게 그려져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몇몇 이름을 제외하고는, 늘 정리되지 않은 듯한 기분이 드는 이유는 그리스 로마 신화 속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뭔가 정리되고 연결되지 않고 따로 떨어진 이야기들을 읽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그리스 로마 신화는 역사서가 아니다. 시간의 흐름을 연결되긴 하지만, 그러기에는 너무 방대하기도 하다. 과연 어떻게 읽으면 좀 더 정리되고 기억에 남을 수 있을까?

저자의 이름이 낯익은 이유는, 몇 년째 내 위시리스트에 담겨있는 책이 바로 김헌의 그리스 로마신화이기 때문이고, 얼마 전 한 프로에서 그리스 로마신화를 다루었는데 그때 전문가인 김헌 교수가 패널로 참여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더 기대가 되었다.

신화의 숲에는 세 종류의 숲이 등장한다. 신화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사랑에 관한 숲, 신을 향한 인간이 촉발한 저주와 재앙의 숲, 그리고 큰 획을 그은 용감한 인물들의 숲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 신화의 시작은 대지의 신 가이아와 하늘의 신 우라노스 등으로부터 시작되지만, 이 책은 에코로부터 시작된다. 산에서 울리는 메아리를 뜻하는 에코는 어떻게 목소리로만 남게 되었을까? 그리고 에코가 사랑했던 남자는 누구였을까? 에코를부터 이어지는 이야기는 나르키소스와 연결이 된다. 그리고 사랑의 숲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신은 단연 에로스와 아프로디테다. 에로스가 쏜 화살이 촉발한 사랑의 이야기는 과연 각 인물들에게 어떤 결과로 이어질까? 특히 에로스 본인의 이야기도 상당 부분 등장하기 때문에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한편, 두 번째 장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신의 저주를 받거나, 인간의 욕심 등으로 인해 저주를 받게 된 사연들이 소개된다. 물론 자신의 잘못 때문에 벌어진 일들도 있지만, 인간 못지않게 질투가 심한 신들 덕분에 벌어진 이야기도 상당수다. 그중 하나를 이야기하자면, 칼리스트와 아르카스의 이야기인데 이 이야기는 밤하늘의 별인 큰 곰자리, 작은곰 자리와 이어진다. 이번에도 시작은 또 바람둥이 제우스다. 아르테미스의 추종자였던 칼리스토에게 반한 제우스는 칼리스토를 꼬시기 위해 아르테미스의 모습으로 분하여 칼리스토에게 다가간다. 그리고 그녀를 범하고 만다. 아르테미스는 순결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처녀신이기에, 제우스에게 순결을 잃게 된 칼리스토는 쫓겨나고 만다. 결국 아들을 낳은 칼리스토. 하지만 제우스의 아내 헤라가 가만있지 않았다. 결국 헤라에 의해 곰이 된 칼리스토는 아들과 생이별을 하게 된다. 한편, 헤르메스는 칼리스토의 아들인 아르카스를 자신의 어머니 마이아에게 데려가서 훌륭하게 키운다. 아르카스는 사냥을 즐겼는데, 어느 날 사냥을 갔다가 곰을 마주하게 된다. 그 곰은 바로 아르카스의 어머니인 칼리스토였다. 하지만 그 사실을 알 턱이 없는 아르카스는 칼리스토에게 창을 겨눈다. 급작스러운 상황에서 제우스는 두 모자를 하늘의 별자리로 만든다. 하지만 이번에도 헤라는 이 사실에 분개해 큰 곰자리와 작은 곰자리를 하늘에서 떠나지 못하게 만든다. 이런 사연들이 책 속에는 꽤 자주 보인다. 잘못은 제우스가 했는데, 피해는 칼리스토와 아르카스가 보게 된 것이다. 억울할 수 있지만, 한 편으로는 인간보다 더 인간 같은 신들의 모습이 흥미를 자아낸다고 할 수 있겠다.

세 번째 장에서는 페르세우스, 테세우스 등의 영웅들이 등장한다. 자신에게 주어진 어려움을 극복하며 용감하게 개척해나간 모습들을 등장한다. 좌절할 법한 어려움 속에서도 결국은 승리를 하는 그들의 모습은 강인한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각 이야기의 마지막 장에는 앞의 이야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이나 생각할 여지들이 짧게 담겨있다. 삽화도 종종 곁들여져 있기에, 성인뿐 아니라 청소년들도 어려움 없이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오늘은 그리스 로마 신화 속 이야기를 함께 읽고 이야기를 나누어 보는 것은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