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시간을 복원하는 사람입니다 - 어느 문화재 복원가가 들려주는 유물의 말들
신은주 지음 / 앤의서재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녹이지만 이를 거울삼아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고 나를 보호하는 방패로 삼을지,

나를 갉아먹는지 인식도 하지 못한 채 병들어 갈지,

우리는 선택해야 한다.

무엇을 남기고, 무엇을 버릴지.

어린 시절 영화 인디아나 존스를 보며 고고학자의 꿈을 키웠던 시절이 있었다. 역사를 좋아하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여름휴가 때는 우리나라 여기저기를 다니며 문화재 탐방을 하기도 했다. 그래서 대학 전공으로 진지하게 사학과를 생각한 적도 있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역사와 관련된 일을 하는 것은 마음 한구석의 꿈으로 간직하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나는 역사에 관심이 많다. 이 책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던 이유 역시 그와 맥락을 같이 한다. 문화재 복원가의 삶은 직접 경험해 보지는 못했지만, 궁금했다. 물론 쉽지 않은 일이겠지만, 그만큼 큰 보람을 느끼는 일일 거라는 생각도 들었다. 책 속에 담겨있는 문화재 복원가의 삶은 정말 녹록지 않았다. 우선 근무하는 곳 자체가 감옥을 연상시킬 만큼 창살이 가득하다. 아무래도 문화재의 가치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뿐만 아니라 문화재에 소재와 발견된 상태 등에 따라 복원을 해야 하는 방법이 천차만별이라는 것이다. 최대한의 손상을 줄이고, 원래의 모습 그대로의 복원은 의지로만 되는 게 아니니 말이다.

여전히 회자되는 신안 앞바다 해저 유물에 관한 복원 이야기를 책에서 마주할 수 있었는데, 당시는 지금보다 복원 장비나 물질 등에서 어려움이 있기도 했었겠지만 배 자체를 복원하기 위한 장소의 문제로 큰 방이 건조실로 활용되었다고 한다.(당연히 신안 해저선이 우리나라 배 일거라 생각했는데, 아니었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알았다.) 기계에 들어갈만한 사이즈가 아니기에, 건조하는 데만 해도 몇 년이 소요되었고, 해저선 보존처리만 20년이 넘게 걸렸다고 하니 정말 보통 일이 아니다 싶다. 또한 문화재 복원가들의 직업병이라면 저장강박증을 들 수 있다고 한다. 문화재를 발견하게 되면, 그 주변의 흙까지 다 같이 담아오는 경우가 있는데 흙 속에서 진주나 파편 등이 발견되기도 한다고 한다. 문제는 그렇게 문화재의 작은 부분까지 다 찾은 흙조차, 버릴 수가 없다고 한다. 아마 작은 것 하나까지 완전하게 복구하고자 하는 문화재 복원가들의 마음이 그 안에 담겨있어서가 아닐까 싶다.

문화재 복원 가라면 어떤 전공을 해야 할까? 양날의 검일 수 있는데, 우선 문화재 관련된 작업에는 여러 화학적 물질들이 필요하다. 그렇기에 이과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하지만, 문화재 안에 담긴 시대와 환경적 상황들을 살필 눈도 필요하다. 그래야 구체적으로 상황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복원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무엇보다 과거의 문화재를 통해 미래를 바라볼 수 있는 마음과 눈이 필요하다. 과거의 어떤 이유로 사용되었던 물건들이 긴 시간 방치 혹은 깊숙한 곳에 떨어져 있다가, 어느 순간 밖으로 나온다. 그 물건을 용도에 맞게 사용했던 사람들은 없다. 문화재를 통해 과거와 현재 그리고 복원 후 미래의 사람들에게 과거의 그 시대의 유물을 소개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 바로 문화재 복원 가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