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디를 비롯한 등장인물들의 시선을 따라가면서 자꾸 뭔가 걸리는 단어들이 발목을 잡았다. 유대인, 흑인, 여성... 아무렇지 않게 등장하는 이 단어들은 자꾸 걸림돌이 된다. 여성이기에, 유색인종이기에 이 단어가 등장할 때마다 마치 덫처럼 더 이상의 진전이 될 수 없게 꽁꽁 얽어매는 기분이 든다. 바로 매디가 그랬고, 호수 속의 여인이 그랬다. 11세 소녀의 실종 이야기를 들은 후, 매디는 뭔가 있다는 생각을 한다. 그리고 그녀는 글을 쓰고 싶다는 과거의 꿈을 이루어 기자가 된다. 하지만 세상은 호락호락하지 않다. 특히 30대 후반의 이혼녀인 그녀에게는 더욱 그렇다. 하지만 매디는 이뤄내고 싶었다. 그래서 그녀가 사용한 방법은 안쓰럽고 안타깝다. 누군가는 매디를 비난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녀는 살기 위한, 사건을 파헤치기 위한 방법이 그것밖에 없었기에 그녀의 선택을 마냥 비난할 수만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 속 매디와 같은 시기를 살았던 레슨인 케미스트리의 여성 화학자 엘리자베스 조트가 책을 읽는 내내 겹쳐 보였다. 능력 있지만 여성이라는 이유로, 엄마라는 이유로, 또 그 밖의 다른 이유로 그들은 자신의 능력을 있는 그대로 인정받지 못한다. 그게 당연하다는 듯이 말이다. 사실 가족들조차 그런 그녀의 선택을 비난하는데, 남은 말해 뭐 할까 싶기도 하다.
호수 속 여인과 매디의 관계가 무척 궁금했다. 과연 매디가 파헤치는 사건과 그녀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사건을 풀어가는 내용을 한 편에 두고, 1960년대 시대상을 반대편에 두고 읽다 보니 여러 생각에 가닿게 되었다. 그저 스릴러나 추리소설은 아니라는 것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