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다움 - 인간다운 삶을 지탱하는 3가지 기준
김기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문장을 읽었을 때 드는 느낌이 어떤가?

"그 사람 인간도 아니야!" 비슷해 보이는 두 단어가 나열되었지만, 마치 "이 걸상 책상이야!"라는 뜻과는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람과 인간은 비슷해 보이는 단어지만, 어디에 배치되느냐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된다. 저자의 이 문장을 읽는 순간. 솔직히 들었던 생각은, '이거 생각보다 흥미롭겠는데?'였다. 제목과 저자의 이력(서울대 철학과 교수)이 주는 묵직함에, 들어가며를 통해 제시된 내용을 읽으며 딱딱하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막상 실제 내용으로 들어가니 걱정이 조금은 가라앉았다.

저자는 인간다움을 설명하며 인간다움을 지탱하는 세 개의 축으로 공감과 이성, 자유를 이야기한다. 언뜻 접점이 없어 보이고, 인간다움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 싶은 단어들이었는데 세계사의 각 분류된 시대를 통해 왜 인간다움을 구성하는 3요소로 공감과 이성, 자유를 택했는지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인간다움은 이것보다는 차원이 높다.

먼저 상대방도 나만큼 자신의 세계를 만들어나가는 가치 있는 존재임을 인정해야 한다.

그리고 그에 합당하게 행동할 때 나는 짐승의 차원을 넘어 인간다운 존재가 된다.

셋 중 가장 먼저 인간다움을 이루는 요소는 공감이다. 인간을 만물의 영장이라고 하는데, 생물학적으로 볼 때 인간은 동물군 중에서 가장 약한 존재다. 사람의 새끼는 배에서 나오자마자 자신의 힘으로 일어서는 대다수의 동물과 달리 태어나서 1년여를 엄마의 젖과 도움이 없으면 생존할 수 없다. 인간이 가진 어떤 것도 동물들보다 월등하지 않다. 그런 인간이 어떻게 생태계의 지배자의 자리를 갖게 되었을까? 인간은 여러 가지 요소를 통해 소통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협력과 공감을 할 수 있었다. 고대 시대에만 해도 공감 의외에 인간다움의 요소는 꽃 피지 않았다. 공감 하나만으로는 인간다움을 이룩할 수 없다. 이성을 가지게 되면서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존재임을 깨닫게 된다. 물론 중세까지만 해도 무리 속의 개인에 대해서는 생각할 수 없었다. 하지만 평등에 대한 생각이 자리 잡기 시작하고, 신으로부터 분리된 개인을 인지하게 되면서 조금씩 자유에 대한 가치를 깨닫게 된다.

고대부터 중세와 근대, 현대 그리고 미래에 이르기까지 인간다움의 요소들은 점점 성장을 거듭한다. 현대의 관점에서 볼 때 과거의 모습은 어리석게 보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막 태어난 신생아가 뛸 수 없듯이 그 시대들을 통한 인간다움의 성장이 있었기에 현대의 삶도 있는 것이 아닐까?

철학이지만 생물학과 사회과학, 예술과 세계사와 미래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주의 이야기가 인간다움이라는 하나의 주제 속에 연결되어 있다. 덕분에 인간다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고, 미래의 인간다움을 위해 우리는 어떤 생각의 가지치기와 성장이 필요한지를 다시금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