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공부 - 논어에서 찾은 인간관계의 처음과 끝
조윤제 지음 / 청림출판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군자에게는 세 가지 변화가 있다.

그를 멀리서 바라보면 위엄이 있고, 가까이서 대해보면 온유하며,

그의 말을 들어보면 엄정하다.

다산 시리즈를 통해 묵직한 울림을 선사한 조윤제 작가의 신작은 논어를 바탕으로 한 인간관계. 즉, 사람 공부다. 내가 아닌 타인과의 관계를 처음 인지하기 시작했을 때는 유치원 다닐 때였다. 내 마음 같지 않은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참 쉽지 않았던 기억이 드문드문 떠오른다. 친하게 지내던 친구와 완전 틀어져서 진짜 마음고생을 했던 기억도 떠오른다. 9살 때의 일이다. 결국 고민하다가 친구에게 마음을 담은 편지를 건넸고, 그날 이후 다시 잘 지내게 되었지만, 그 며칠을 얼마나 마음 졸였는지 아직도 선명하게 떠오른다. 나이가 들면 인간관계가 한결 편할 거라 생각했는데, 나이가 들수록 더 어려운 게 인간관계가 아닌가 싶다.

공자는 인간관계가 어렵지 않았을까? 글쎄다... 그 조차도 인간관계는 쉽지 않았을 것 같다. 논어 속에도 관련된 이야기가 상당수 등장하기 때문이다. 어폐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인간은 절대 혼자 살아갈 수 없는 존재이기에 모든 내용이 다 인간관계의 범주에 속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 또한 해본다. 특히 공자의 경우 제자 안연을 떠나보내는 시간을 경험하며 관계에 대해 더 깊은 사색을 했던 것 같다.

저자는 충(忠) 서(恕), 성(誠)을 통해 논어 속에 나온 인간관계의 맥락을 풀어낸다. 여기서 충은 흔들리지 않는 중심을 세우는 것으로, 서는 모든 인간관계는 나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으로, 성은 꾸준한 사람은 결코 실패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표현한다. 그 과정에는 배움을 즐기는 마음도 필요하고, 관계 속에서 내 것을 챙기는 데 혈안이 되기 보다 나누어 줄 수 있는 마음을 갖는 것도 필요하다. 타인을 용납하고 수용할 수 있는 마음도 필요하고, 모든 일에 정성을 다해야 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사람이다. 사람을 대할 때 인(仁)으로 대해야 한다는 것. 인을 바탕으로 충, 서, 성을 담아내야 한다.

배우는 것 역시 내 부족함을 인정하고, 타인의 의견을 수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타인의 의견을 받아들이는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물론 타인의 의견에 따라 내 의견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중심을 다 잡을 필요가 있다. 바로 중용의 마음이다.

저자는 앞의 글을 이렇게 풀어낸다.

상황에 따라 다른 모습일지라도

어른에게는 굳건한 심지가 있다.

그 마음을 지키는 것. 타인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는 마음을 가지고 있으면서, 내 안에 명확한 기준이 있다는 것. 여전히 쉽지 않겠다 싶다. 물론 공자의 경지에 범인이 어찌 닿을 수 있겠는가! 하지만 그 다름을 인정하고 수용해 봐야지!라는 생각부터 사람공부가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