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1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엇 때문에 고통을 받습니까? 사람들은 고통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흔히 거창한 대의명분을 들먹이죠.

하지만 편안함과 즐거움을 포기하면서까지 추구할 만한 대의명분이라는 게 과연 있습니까?

세계 체스대회에서 컴퓨터인 딥블루 Ⅳ로부터 승리를 거둔 사뮈엘 핀처 박사. 그동안 여러 번의 대회가 있었지만, 번번이 지던 차에 드디어 인간이 컴퓨터로부터 승리를 거둔 것이다. (이 장면을 보는 순간 또 하나의 장면이 떠올랐다. 바로 이차돌 9단과 알파고의 바둑대결이었다. 2016년과 2002년이라는 시대 차가 있긴 하지만, 그전부터(1997년) 실제 컴퓨터를 상대로 한 체스 대회는 계속 있어왔다고 하니 저자의 상상력의 산물은 아닌가 보다.) 뛰어난 정신과 의사이자 세계 랭킹 1위의 체스 챔피언인 사뮈엘 핀처는 경기 후, 모델인 애인 나타샤 안데르센과 인사를 나누며 떠난다. 승리에 고취된 지 얼마 안 돼서, 갑자기 사뮈엘 핀처가 다시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린다. 간 밤에 사뮈엘 핀처가 사망했기 때문이다. 이유는 나타샤와 사랑을 나누다가 사망했다는 것이다. 이 무슨 당황스러운 상황인가?

사뮈엘의 사망에 의심을 품은 것은 경찰 출신 기자 이지도르 카첸버그와 르 게퇴르 모데른지 기자 뤼크레스 넴로드였다. 이들은 사뮈엘에 죽음이 타살이라 의심하고 주변에 탐문수사를 시작한다. 우선 사뮈엘의 시신을 검시한 법의학자 조르다노 교수를 찾아간다. 그는 유족 몰래 사뮈엘의 뇌를 따로 보관하고 있었다. 혹시나 새로운 내용이 밝혀진다면 연락을 주기로 한다. 또 한편, 사뮈엘의 형인 파스칼 핀처를 조사해 보기로 한 두 사람. 그는 최면술사로 즐거운 부엉이 공연을 하고 있었다. 당일 공연에 특이한 상황이 목격된 걸 보고 의심의 잣대를 드리운다. 공연이 끝난 후 그를 좇아간 둘은 공연장에서 웃음거리가 된 것에 앙갚음을 품은 군인 무리로부터 파스칼을 도와준다. 파스칼로부터 사뮈엘(사미)이 성 마르그리트 섬에 있는 병원(정신병원)의 병원장이었는데, 병원 사람들 중에는 그에게 반감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있었다는 정보를 듣고 섬을 향해 발길을 돌린다. 섬에서 병원까지 배로만 통행이 가능한데, 뱃사공인 전직 의사 움베르토 로시를 매수해 병원에 들어가는데 성공한 두 사람. 여러 정보를 가지고 그들은 사뮈엘과 마지막까지 함께 했던 연인 나타샤를 찾아간다. 아무리 초인종을 눌러도 대답이 없자 둘은 그 집으로 잠입하고 씨엘이라는 마크를 발견하게 된다. 전화벨 소리에 잠이 깬 나타샤를 발견한 이지도르와 뤼크레스는 나타샤 몰래 숨었다가 씨엘 클럽에서 사뮈엘을 위한 추도식 겸 파티를 계획하고 있다는 사실을 듣고 씨엘 클럽으로 향하게 되는데...

한편, 시점은 또 다른 상황으로 연결된다. 신용은행 법무담당 직원이었던 장 루이 마르탱은 교통사고를 당하고 전신마비 환자가 된다. 그가 움직일 수 있는 부위는 한쪽 눈과 한쪽 귀뿐이다. 성 마르그리트 병원에 입원하게 된 마르탱. 처음에는 가족들과 동료들이 자주 병문안을 왔지만, 그가 더 이상 어떤 것도 할 수 없는 식물인간 상태라는 것을 인지한 그들은 더 이상 발길을 하지 않는다. 유일하게 그의 편에서 그를 지키는 것은 주치의 사뮈엘 핀처 뿐이었다. 눈을 깜박이는 횟수로 의사소통을 하던 그에게 사뮈엘은 그가 티브이의 과학 다큐멘터리에 관심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주어진 시간 동안 다큐멘터리를 통해 과학지식을 쌓은 그에게 눈으로 조정 가능한 컴퓨터를 가져다주는 사뮈엘. 눈 움직임을 통해 장편의 책을 내지만 누구도 관심을 갖지 않는다. 그러던 차에 인터넷의 세계까지 마주하게 된 마르탱은 사뮈엘과 체르니엔코박사의 인간대상 실험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그들만의 연구를 시작하는데... 과연 모두가 연결되어 있는 듯 보이는 최후 비밀의 정체는 무엇일까?

인간의 뇌는 무궁무진하다고 한다. 과연 인간이 가장 원하는 욕구는 무엇일까? 생존의 욕구를 넘어서는 다른 욕구가 과연 있는 것일까? 그 욕구는 과연 인간에게 독일까, 약일까?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최근 소설을 마주한 후에 뇌를 읽어서 그런지, 이후 발간된 작품들과의 연결고리가 눈에 띄었다. 가령 쥐와 같은 동물실험이나 최면에 대한 이야기 등처럼 말이다. 순서는 상관없겠지만, 역시 베르나르 베르베르 만의 사차원적인 세계가 뇌에서부터 이어진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무엇 때문에 고통을 받습니까? 사람들은 고통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흔히 거창한 대의명분을 들먹이죠.

하지만 편안함과 즐거움을 포기하면서까지 추구할 만한 대의명분이라는 게 과연 있습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