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파친코 1 - 개정판 파친코 1
이민진 지음, 신승미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국심은 그저 이념이야. 자본주의나 공산주의도 마찬가지고.

하지만 이념에 빠진 사람은 자신의 이익을 잊게 돼.

그리고 높은 자리에 있는 지도자들은 그 이념에 지나치게 심취한 사람을 이용하지.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한국인 최초로 여우조연상을 수상한 윤여정 배우가 출연해서 더욱 유명해진 웹드라마 파친코. 평소 TV와 같은 매체를 자주 접하지 않기에 웹드라마를 본 적은 없지만, 여기저기 입소문으로 워낙 유명한 소설이었기에 궁금했다. 보통 제목이나 표지 등은 작품과 긴밀히 연결되는데, 1권을 말미까지 파친코에 대한 내용은 1도 안 나온다. 도대체 왜 제목이 파친코인 걸까?

이 작품의 주인공은 김선자다. 노년의 선자를 윤여정 배우가 연기했다고 한다. 소설과 드라마의 차이가 있다고 하는데, 어떤 차이인지는 잘 모르겠다.(웹드라마를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부산 영도에서 하숙을 하는 부부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 중에 유일하게 살아남은 김훈. 그는 소아마비로 걸음이 불편하고, 구순구개열을 가지고 태어났다. 하지만 누구보다 생활력이 강하고 자상한 훈이와 부모는 장애 때문에 결혼을 꿈꾸지도 못한다. 워낙 생활이 어렵던 터라, 입 하나 덜고자 하는 마음으로 양진의 아버지는 훈이에게 딸을 시집보낸다. 장애가 있을 뿐, 훈이는 양진을 참 많이 아꼈다. 둘 사이에 장애를 가진 아이들이 태어났지만, 죽고 유일하게 살아남은 딸이 선자다. 훈은 선자를 무척 아끼고 사랑했다. 그러던 훈이 폐결핵으로 앓다 세상을 떠난다. 시부모를 여의고, 남편과 아이들 마저 앞세운 선자는 물려받은 하숙을 하며 딸 선자를 키운다. 그나마 텃밭에 키운 채소와 하숙하는 남자들이 주는 생선으로 겨우겨우 살림을 꾸려나가던 어느 날, 한 손님이 찾아온다. 과거 하숙집에 머물렀던 백요셉의 동생이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젊은 목사 백이삭. 형 요셉이 있는 오사카로 떠나기 위해 잠시 머물기로 했지만, 그는 결핵을 심하게 앓고 있었다. 자신의 남편을 결핵으로 잃었던 터라, 양진은 이삭을 지극정성으로 간호한다.

한편, 장에 갔다가 일본 학생들에게 성추행을 당하게 되는 선자를 돕는 고한수. 그는 제주 태생으로 일본 오사카와 영도를 오가며 중개인을 하는 사람이었다. 한수와 조금씩 가까워지는 선자. 한수는 일을 보고 돌아오는 길에 늘 선자에게 좋은 선물을 해준다. 외국에서 수입해온 시계까지도... 그렇게 선자는 한수의 아내가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한수가 자신을 아끼고 사랑해 준다 믿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에게 몸을 허락한다. 하지만, 한수는 일본에 세 딸과 아내가 있는 몸이었다. 충격을 받은 선자. 이미 뱃속에는 아이가 생긴 상태다. 결국 한수의 첩이 되기를 포기하고, 한수를 떠나는 선자. 미혼모의 삶은 지금도 쉽지 않은데, 1930년 대는 더 할 것이다. 선자와 양진의 도움으로 목숨을 살린 이삭은 그런 선자를 자신의 아내로 맞기로 한다. 둘은 요셉이 있는 오사카로 떠나게 된다. 요셉과 아내 경희가 살고 있는 곳에 머물며 선자는 아들 노아를 낳는다. 하지만 요셉이 버는 돈으로 살림을 꾸려나가는 것은 힘에 부치다. 완고하고 가부장적인 남자인 요셉은 아내가 바깥일을 하는 것에 크게 반대한다. 하지만 노아를 공부시키기 위한 핑계로 둘은 김치와 장아찌를 만들어서 판다. 어느 날, 선자에게 김치 전부를 납품할 좋은 기회가 생기게 되는데...

1910년대부터 1962년까지의 이야기가 담겨있는 1권에는 일제강점기의 이야기와 함께 패망한 일본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일본으로 건너가 사는 한인들의 팍팍한 삶이 녹아있는 소설 속 이야기에서 두 아들 노아와 모자수(모세의 일본 이름)를 키우는 선자. 그런 선자 주변을 배회하는 한수. 신사참배에 대한 거부로 옥에 갇혀 목숨을 잃게 되는 유목사와 죽기 직전에 집으로 돌아온 이삭. 한수의 부하이자 요셉의 아내인 경희를 짝사랑하는 조선 청년 김창호. 원자폭탄 폭격으로 큰 화상을 입고 돌아온 요셉과 어느덧 성장한 노아와 모자수의 이야기가 펼쳐져 있다. 공부도 잘하고, 모든 것에 월등하지만 조선인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는 노아와 그런 형을 보며 불량학생(?)의 길을 걷는 모자수 형제의 대비가 또 다른 아픔을 상기시킨다.

태어났을 때부터 늘 그렇게 꾸준히 살아왔던 양진과 선자는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억척스럽게 살아간다. 조선이든, 일본이든, 영도건, 오사카 건 간에 말이다. 아직 파친코라는 제목의 의미를 발견하지 못한 1권. 2권에서는 구체적으로 이들의 삶이 어떻게 변화될지 궁금하고 기대된다.


애국심은 그저 이념이야. 자본주의나 공산주의도 마찬가지고.

하지만 이념에 빠진 사람은 자신의 이익을 잊게 돼.

그리고 높은 자리에 있는 지도자들은 그 이념에 지나치게 심취한 사람을 이용하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