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예술로 빛난다 -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가장 아름다운 대답
조원재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내면에는 근면 성실하려는 마음이 있는 동시에 나태해지고 싶은 마음 역시 있다.

이 둘은 일상에서 항상 힘겨루기를 하고 있는 것 같아 보인다.

일을 해야 하지만 동시에 하고 싶지 않기도 하다.

그렇기에 우리 존재 그대로 사는 것이 자연스러운 삶이라면, 우리는 일정 부문 근면 성실하면서도 일정 부분 나태하게 사는 지혜를 발휘하는 조화와 균형의 삶을 '예술적으로' 구성해 가야 하지 않을까?

이제는 미술이 조금은 접근하기 편안해졌다. 미술 관련 도슨트 서적도 많고, 명화와 인문학을 접목하여 편안하게 읽을 수 있게 쓰인 책들도 쉽게 접할 수 있어서 인 것 같다. 방구석 미술관의 조원재 작가의 책도 그런 역할을 했던 책이 아니었나 싶다.(아쉽게도 초반에 몇 장을 읽고 덮긴 했지만;;;) 그럼에도 예술은 참 어렵다.

얼마 전 오랜만에 티브이에 출연한 한 배우를 마주한 적이 있다. 과거 오랫동안 방영된 드라마의 주인공이었다. 그 배우의 출연을 두고, 함께 출연했던 배우 중 한 사람이 했던 이야기가 책을 읽는 동안 떠올랐다. "배우의 연기가 시청자 뿐 아니라 상대 배우까지 울릴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 준 분이었다."라는 말이었다. 책을 읽으며 예술이 바로 그런 역할을 해주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작품 속에 저자가 숨겨둔, 저자가 넣어둔 감정들이 있다. 그 감정들은 작품 속에 고스란히 담겨있다가 감상자의 오감과 생각을 통해 흘러 들어간다. 감상자의 상태에 따라 저마다 다른 감정일 수도 있고, 같은 감정일 수도 있다. 연기자의 연기를 보고 시청자가 느끼는 공감처럼 미술작품도 그럴 수 있다는 것. 아직은 피부로 와닿을 정도로 경험해 본 것은 아니지만, 그런 감정을 나 또한 느껴보고 싶다는 생각이 책을 읽는 내내 들었다.

미술작품을 만나 대화를 나누는 모든 시간은 내가 보는 것을 온전히 스스로 결정하는 시간이다.

미술작품은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어떤 것을 어떻게 보라는 둥 설명해 주지 않는다.

미술작품은 그저 그곳에 있을 뿐이다.

책 속에는 다양한 예술가들의 삶과 작품에 대한 이야기가 공존한다. 그리고 그 안에서 느끼고 보았던 저자의 삶이 글을 통해 녹아있고, 그 글을 읽으며 나 또한 저자의 감정에 공감했다. 아직은 저자의 글과 같은 연결고리가 필요하지만 언젠가 나 역시 저자처럼 예술작품을 직접적으로 마주하며 공감할 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

많은 작품들 중 유독 기억에 남는 작품은 한국 작가들의 작품이었다. 이미 이건희 컬렉션을 통해 한번 접했던 작가들 이어서기도 하지만, 유난히 오래 다녔던 직장을 정리하고 그동안 꿈꾸었던 하루 종일 책에 빠져 지내는 시간을 보내고 있는 요즘. 내가 꿈꾸던 시간이 마냥 좋기만 한 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던 차에 마주해서 그런지 더욱 가슴에 깊이 들어왔던 것 같다. 직장을 다니며 늘 똑같은 일상을 살면서 지겹다는 생각을 많이 했었던 것 같다. 하루 종일 원하는 만큼 책을 읽을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진다면 정말 행복할 것 같았는데 똑같은 일상이 되니 그 조차도 지루해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의 연월일을 48년간 작업했던 온 카와라 뿐 아니라 오랜 기간에 걸쳐 점과 선으로 작품을 완성한 이우환은 과연 같은 작업을 하면서 지루했을까? 지겨웠을까? 그 물음에 저자는 이렇게 답했다.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새롭게 보일 수 있다고 말이다.

도서관이 휴관인 월요일. 밀린 집안 일과 함께 서평을 마무리하면서 마주하는 하늘이 참 예쁘다. 내가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오늘 또한 평범하고 지루한 일상이 될 수도, 색다른 하루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내 삶을 귀중하게 만드는 열쇠는 바로 내 손에 있다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