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에 예술을 들일 때, 니체 - 허무의 늪에서 삶의 자극제를 찾는 철학 수업 서가명강 시리즈 32
박찬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가명강 시리즈를 좋아하고, 꾸준히 읽고 있다. 저자의 이름이 낯이 익어서 보니 세 번째 만나는 서가명강 철학 시리즈였다. 에리히 프롬과 쇼펜하우어에 이어 이번에는 니체다. 니체는 내겐 참 친해지기 어려운 철학자다. 그렇다고 니체와 관련된 책을 안 읽은 것도 아니다. 클클 시리즈에서도 만났고,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도 읽었고, 니체를 연구한 철학자의 저서도 읽었고, 그와 관련 있는 책도 여러 권 마주했는데도 마주할 때마다 새롭고 낯설다. (아마도 니체에 대해 처음 마주한 "신은 죽었다."라는 문장 자체가 주는 충격 때문에 색안경을 쓰고 바라보게 되었는데, 실제 뜻을 마주하고 나서도 쉽게 바뀌지 않는다.) 지금으로 보자면 아주 어린 나이인 20대 초반에 이미 교수로 임용된 니체는 예민한 성격의 소유자기도 했다. 왠지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철학자이기에 이 책에 두 글자 "예술"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왜 자꾸 니체 하면 고지식하고, 고집불통 이미지가 떠오르는지...) 것 같았다. 근데 그가 얼마나 예술을 사랑하고, 모든 가치와 학문 중 우선순위로 예술을 두었는지는 이 책을 읽으면서 확실히 깨닫게 되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니체의 저서 "비극의 탄생"을 중심으로 니체와 예술에 대한 이야기를 깊이 있게 다룬다. 놀라운 것은 니체가 이 책을 28살에 썼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등장하는 인물에는 박찬국 교수가 서가명강에서 이미 다룬 적이 있는 쇼펜하우어가 있다. 그의 철학에 대해 니체는 초반에는 동조하고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이후 생각이 바뀌어서 그의 철학과의 이별을 선택했다고 한다. 그러고 보면 니체는 우상격으로 좋아했다가 추후에 돌아서는 경향이 여러 번 있었던 것 같다. 음악가 바그너와의 관계 역시 그랬다.

니체는 예술을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으로 이야기하는데, 디오니소스적인 예술에의 심취에 더 가치를 둔다. 저자는 예술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예를 들어 설명한다. 바로 BGM에 관한 내용이다. 우리가 영상이나 자막을 볼 때 과연 그 분위기를 깊이 있게 느끼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모르겠다면 공포영화를 상기시켜보자. 우리가 공포를 느끼는 것은 내용일까, 음악일까? 가볍게 생각하는 예술의 힘을 알 수 있는 예가 될 것이다.

이 철학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읽으면 읽을수록 내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와 다름을 느낀다. 맥락만 보자면 현대인들의 생각과 대척점을 가질 수도 있겠다 싶었던 것이 그는 경쟁을 긍정적으로 봤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사회주의나 평등의 개념이 오히려 사회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고 봤다. 여기서 끝났다면 니체의 철학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긍정할 사람이 많지 않을 듯싶은데 저자는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우리가 느끼는 허무와 고통 등의 비극적 감정들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를 설명한다.

니체는 오히려 욕망을 인간과 문명의 발달을 위해서 필요한 동력이라고 본다.

인간이 이룩한 모든 위대한 업적과 성취는 욕망 없이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사람들은 위대한 것을 성취하기 위해 고통을 기꺼이 감수한다.

이 책을 통해 본 니체는 위로보다는 호통을, 당근보다는 채찍을 통해 약해빠진 마음을 강하게 갖기를 종용한다. 오히려 허무와 고통을 장애로 여기며, 장애를 극복해야 강한 인간이 될 수 있다고 여긴다. 그렇다고 욕망의 노예가 되는 것도, 욕망을 억누르고 금기시하는 것도 긍정적으로 보지 않는다. 욕망을 적절히 조절하여 마침내 강한 인간이 되는 것. 그리고 그 강함은 비극과 같은 현실 세계의 장애들을 이길 때 비로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그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들을 그리스의 비극과 같은 예술에서 찾았다.

서가명강 32번째 수업을 통해 비극의 탄생과 그 안에 담긴 니체의 철학을 새롭게 마주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