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든다는 착각 - 몸과 마음에 대한 통념을 부수는 에이징 심리학
베카 레비 지음, 김효정 옮김 / 한빛비즈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읽는 순간, 잘못 읽었나 하는 생각이 머리를 스치고 지나갔다. 나이가 드는 건 당연한 것이고, 진실인데 왜 "착각"이라는 단어가 쓰인 걸까 싶었기 때문이다. 책을 읽으며 놀랐다. 우리의 생각이 얼마나 우리의 삶을 지배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다.

나는 꽤 오래 다닌 직장의 퇴사를 앞두고 있다. 회사를 다니는 동안 앞자리가 두 번이나 바뀌었으니 적지 않은 시간이었다. 퇴사 후 이직을 하기 위해서는 공부가 필요한데, 자기 계발을 위한 공부가 아니라 이직을 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공부라는 데 방점이 있다. 그러다 보니 걱정이 앞섰다. 나이가 들어서 하는 공부는 쉽지 않다는 이야기를 참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 머리도 머리고, 체력도 안되고... 여러 가지 부정적인 생각들과 함께, 적지 않은 나이에 이직이 과연 쉬울까? 하는 생각 또한 들었다. 둘 다 부정적인 생각들이다. 그래서일까? 이 타이밍에 이 책을 만나게 된 것은 내게 행운이었던 것 같다.

저자는 노화 심리학을 연구한 전문가다. 그런 그 조차 자신의 경험에서 은연중에 노화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떠올리고, 그렇다고 판단하는 모습을 보고 놀랐다고 한다. 다른 사람이 아무리 그래도, 자신은 그러지 말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저자는 궁금했다. 정말 나이가 들면 젊은이보다 모든 능력이 떨어지는 게 당연한 걸까? 하고 말이다.

우선 저자는 노인을 떠올렸을 때 생각나는 5가지 단어를 가지고 연구를 시작했다. 놀라운 것은, 가령 "굼뜨다. 고집불통이다. 노쇠하다" 등 부정적인 단어를 떠올리는 사람과 "깊이 있다. 현명하다. 너그럽다" 등 긍정적인 단어를 떠올린 사람의 능력에 차이가 있었다는 사실이다. 나이의 차이가 아닌 연령 인식의 차이 말이다.

책 속에는 100세에 가까운 나이에도 현업에 종사하는 인물들이 상당수 등장한다. 그들의 공통점은 나이를 인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스스로 나이의 한계치를 두지 않기에 그들은 여전히 자신의 일을 찾아서 한다. 저자는 책을 통해 이야기한다. 우리가 그린 나이에 관한 선입견은 체화된 것이 아니기에 바꿀 수 있다고 말이다. 언제부턴가 우리 사회는 노인에 대한 편견과 부정적인 인식이 깊어졌다. 나 역시 노인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아이러니한 것은 사람은 나이가 들면 누구나 노인이 되지만, 그를 인식하지 못하기에 부정적으로 바라보게 된다. 문제는 내가 당장 노인이 아니더라도,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기저가 깔린 상태가 지속되면 나 역시 그렇게 바뀐다는 사실이다.

한참 "내 나이가 어때서"라는 제목의 노래가 히트를 쳤다. 왜 그 노래가 유독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았을까? 우리 사회가 나이에 대한 깊은 편견과 선입관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다시 살펴본 가사에는 사실 나이가 많음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담겨있긴 하다.)

나이에 대한, 노인에 대한 생각만 바뀌어도 상당한 변화가 일어난다. 저자는 다양한 실험군을 조사하고, 비교하며 결론에 이르렀다. 긍정적인 연령 인식 하나만 가지고도 몸과 마음의 회춘이 일어난다. 모든 것은 내 인식에 달렸다. 원숙하게 익어가는 나이듦의 과정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자. 거기서부터 변화는 시작될 것이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