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생 - 새이야기
곽정식 지음 / 자연경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낯이 익다. 한자는 다르지만, 나 역시 "조선생"으로 꽤 오래 불렸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조류를 좋아하는 건 아니지만, 매일 아침마다 만나는 참새나 비둘기를 비롯하여 어린이집 등원 때마다 무서워하는 까마귀, 큰 아이의 최애 음식인 닭, 요즘은 보기 쉽지 않은 제비를 비롯하여 올 초 시댁에 갔다 마주한 독수리 그리고 동물원에 갈 때마다 꼭 보고 오는 앵무새와 공작, 타조 등에 이르기까지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새들이 책 속 가득 담겨있다.

사실 새에 관한 생물도감 정도로 생각하고 우리가 쉽게 접하는 새들의 특징이나 생태습성 등을 통해 아이들에게 설명해 주면 좋겠다! 하는 마음으로 책을 펼쳤는데, 아뿔싸!! "선생"을 놓쳤다는 생각이 첫 장을 넘기며 바로 들었다. 이 책의 저자는 생물학자가 아니라는 사실 또한...!

책 속에 담겨있는 삽화만큼이나 흥미로웠다. 가령 참새를 예로 들자면, 참새와 관련된 이야기가 봇물 터지듯 등장한다. 작설차를 비롯하여 참새구이, 마작과 모택동, 새가슴에 이어 참새의 날에 이르기까지... 이렇게 다양한 참새 관련 이야기가 있을 줄이야! 싶을 정도로 흥미롭다. 새를 통한 인문학이라고 해야 할까? 책을 읽으면서 왜 저자가 새 조(鳥) 뒤에 선생을 붙였는지 충분히 이해가 되었다. 사실 비둘기만 해도 평화의 상징, 순결의 상징이라는 과거의 긍정적 이미지는 다르게, 현재는 유해조류라고 불리고 있으니 말이다. 나 역시 출퇴근 길에 역 앞 광장을 지나가는데, 비둘기가 움직이면 소름 끼치게 무섭다. 재수 없을 때는 비둘기 똥 테러를 당하기도 하니 말이다. 그래서 그런지, 비둘기를 무서워(더러워서 피하는) 하는 사람들이 갈수록 많아지는 것 같다. 내 영향 때문인지, 큰 아이 역시 어렸을 때 그렇게 좋아하던 비둘기를 더럽다고 피하니 말이다. 이 또한 사람들의 잘못이라는 게 저자의 이야기다. 같은 새를 보고 자신의 편의에 따라 재단하는 것을 비롯하여, 비둘기가 많이 모이는 곳에는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지 마세요."와 같은 현수막이 걸려 있기도 하다. 원래 깨끗한 것을 좋아한다는 비둘기(놀라웠다.)가 씻을 수 있도록(?) 중간중간 분수와 같은 곳을 만들어주자는 의견도 제시한다.

그 밖에 기억에 남는 새는 공작이다. 공작에 공자가 공자의 공자와 같다는 사실을 이번에 알게 되었다. 그 연유를 사천성의 한 노인에게 전해 들은 저자의 글에 나 역시 그렇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공작이 기억이 남는 이유는 얼마 전 읽었던 그리스 로마신화 때문이었다. 눈이 100개 있던 헤라의 부하 아르고스. 그날도 역시 바람을 피우던 제우스를 감시하기 하던 중, 헤라의 눈에 걸릴 것을 예상한 제우스가 바람피운 상대인 이오를 암소로 변신 시킨다. 하지만 여자의 직감 때문일까? 암소를 제우스에게 달라고 요청한 헤라는 아르고스를 시켜 암소를 감시한다. 암소로 변신한 이오가 걱정되었던 제우스는 아들인 헤르메스를 시켜 아르고스를 죽이고, 부하 아르고스의 죽음을 슬퍼한 헤라는 자신을 상징하는 새인 공작에 날개에 아르고스의 눈을 붙였다고 한다. 그러고 나서 보니 공작의 날개가 무서워졌다. 참 이상한 게 사람이라고... 그전까지만 해도 마냥 아름답게 보였던 날개가 무섭게 보이니 말이다.

그 밖에도 닭과 관련된 내용을 읽으며 어린 시절 키웠던 닭들(닭고기가 먹고 싶다는 말에 옆집 슈퍼 가게 할아버지가 아빠가 키워왔던 영계 5마리를 다 잡아서 프라이드치킨을 만드셨다. 그 이후 나는 통째로 튀긴 닭은 입에 대지 않는다.)과 병아리 꿈이가 떠올랐다.

새를 비롯해서 자연과 생물들은 늘 똑같은 모습으로 살고 있다.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느냐에 따라서, 아니 인간이 가진 것에 어떤 피해를 주느냐에 따라서 유해물이 되기도 하고, 찬사를 받는 존재가 되기도 한다. 인간의 입장에서의 판단이 굴레가 된다는 사실이 못내 씁쓸하기만 했다. 또한 우리 주변에서 익숙하게 볼 수 있었던 참새의 경우 과거에 비해 50%나 급감했다고 하니 앞으로는 참새를 책 에서만 만날 수 있는 것은 아닌가 싶어서 안타깝기도 했다. 인간과 생태계가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때이다. 이렇게 책을 읽고 보니 저자의 전작인 충선생도 궁금해진다. 기회가 된다면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