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부터 꽤 오랜 기간 피아노를 배웠다. 피아노를 배워서 좋은 점이라면 클래식과 자연스레 친해졌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유명하고 익숙한 몇 음악가들 외에는 클래식이 여전히 어색하다. 실제로 피아노를 배워도 유명한 음악가들의 음악을 직접 연주하려면 상당히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다 보니 상대적으로 연주가 쉽거나 길지 않은 음악들 위주로 접하다 보니 클래식에도 편식이 생겼다. 조금만 복잡해지거나 낯선 음악가의 곡들의 경우 자연스레 안 듣게 되거나 피하게 된다. 그럼에도 클래식에 대한 관심이 있다 보니 관련 서적들을 자주 찾아볼 경우가 생겼는데, 그동안 입문서 위주로 책을 읽다 보니 단계적인 지식의 깊이가 얕아진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다른 악기의 비해 접할 기회가 많은 피아노임에도 불구하고 피아노에 대한, 피아노에 의한 곡들만으로 구성된 책은 처음 접하는 것 같다. 다행이라면 익숙하지만 낯선 피아노 곡들을 통해 클래식을 향한 듣는 귀와 지식이 한결 깊어진 것 같아 흡족하다. 저자의 말대로 피아노는 다재다능한 악기다. 상당수 악기가 선율만을 연주를 할 수 있는 것과 달리 피아노는 화음과 선율을 동시에 연주할 수 있다. 피아노는 독주뿐 아니라 협주도 가능한 악기이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피아노가 반주악기로 불릴 때도 있다. 자연스레 독주자 뒤로 물러서는 제2의 악기가 되는 것은 아쉬움도 남는다. 그래서인지 책을 통해 저자는 피아노의 진면목을 확실히 알려 주는 100개의 곡을 통해 피아노의 매력을 설명한다.
저자는 총 7부에 걸쳐 피아노의 초기 역사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피아노의 역사에 있어서 꼭 필요한 100곡을 선정해서 책을 통해 소개하고 있다. 음악의 아버지라 부르는 바흐와 아들 바흐, 클래식 하면 자연스레 떠올리는 모차르트나 하이든, 베토벤을 비롯하여 쇼팽과 브람스, 리스트를 거쳐 드뷔시와 라흐마니노프 등의 음악을 소개하고 있다. 물론 낯선 이름도 상당히 많이 나온다. 특히 5부에 등장하는 음악가들은 처음 들어 본다 할 수 있을 정도로 낯설었다. 그뿐만 아니라 재즈와 인터넷의 영향을 받은 현대의 피아노까지 다룬다. 사실 입문서를 찾는다면 조금은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감상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곡을 설명함에 있어 연주에 사용되는 용어들이 상당수 등장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각장 처음에 등장하는 qr코드를 통해 음악을 감상하며 책을 읽는다면, 조금 더 편안하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저자는 음악의 성격뿐 아니라 연주 형태와 작곡 당시 음악가의 실제 이야기까지 곁들여 흥미를 돋운다. 그동안 클래식을 소개한 많은 책을 만나봤지만, 다른 점이라면 책 속에 소개된 음악의 다수가 새롭다는 것이다. 이 책이 아니었다면 만나지 못했던 다수의 음악들을 통해 피아노의 새로운 매력을 경험한 시간이었다.
저자가 여성 피아니스트라서 그런지 조금은 낯선 여성 음악가들의 음악 또한 만날 수 있었다. 당시 음악은 남성들의 전유물이라는 사상이 워낙 컸기 때문에 재능 있는 많은 여성 음악가들의 음악이 사장될 수밖에 없는 사실이 너무 안타까웠다. (일정 나이가 되면 결혼하고 살림을 하길 원했기에 더 이상 음악가로의 삶을 살 수 없도록 막기도 했는데, 아이러니한 것은 자신의 직업이 음악가인 남편들조차 그랬다는 사실이다.) 그렇기에 저자는 알려지지 않은 다양한 여성 음악가들을 소개하려고 노력했다. 로베르트 슈만의 아내인 음악가 클라라 슈만을 비롯하여 소피아 구바이둘리나 마리아 시마노프스카 등 처럼 말이다.
개인적으로 재즈음악에 한 장을 할애한 부분도 참 좋았다. 사실 클래식 음악은 그나마 친밀하지만, 재즈 음악의 경우는 역사를 조망하는 것도, 재즈 음악을 선곡하는 것도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덕분에 다양한 재즈 음악과 함께 재즈사를 함께 접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음악가의 생각에 따라 정말 다양한 음악을 만들어내는 피아노는 그때나 지금이나 여전히 매력적인 악기임에 틀림없다. 덕분의 좋은 음악과 함께 조금이나마 음악을 접점을 가질 수 있어서 뜻깊은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