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피쿠로스 쾌락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47
에피쿠로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12월
평점 :

사려 깊고 아름다우며 정의로운 삶 없이는 쾌락의 삶도 없고,
쾌락의 삶 없이는 사려 깊고 아름다우며 정의로운 삶도 없다.
예컨대 아름답고 정의로운 삶이지만 사려 깊지 않다면,
세 가지 중 어느 한 가지라도 없는 삶은 쾌락의 삶이 아니다.
바른생활 비슷했던 윤리과 어려워지기 시작한 것은 바로 이 철학자들이 등장하면서가 아닐까 싶다. 이해보다는 암기 위주의, 수능을 위한 암기를 했던 터라 성인이 되어 다시금 찬찬히 철학을 훑어보다 보면 뒤죽박죽 섞여있는 지식들을 만나게 된다. 에피쿠로스학파와 스토아학파 하면 서로 반대되는 이미지와 함께 에피쿠로스 = 쾌락주의, 스토아 = 금욕주의라는 키워드가 떠오른다. 그래서일까? 책 속에서 만난 에피쿠로스는 기존에 내가 가지고 있던 "쾌락"의 이미지와는 다분히 다른 이미지를 가진 터라 적잖이 당황했다.
우선 오해를 풀 필요가 있다. 에피쿠로스와 거의 동의어로 받아들여지는 쾌락. 그가 주장한 쾌락의 정의는 무엇일까? 다행이라면(?) 우리가 생각하는 쾌락과는 다른 의미라는 것이다. 그저 생을 즐기고, 먹고, 풀어내는 것에만 집중하는 것을 의미하는 쾌락이 아니라 고통의 반대되는 의미로 쾌락을 사용한다. 다른 단어를 찾자면, 즐거움이나 행복 정도가 될 수 있겠다. 에피쿠로스는 고통을 막고, 두려움으로부터 해방된 평온한 상태를 바로 쾌락이라고 보았다. 거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에피쿠로스는 쾌락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은 선으로, 고통을 만들어내는 것은 악으로 보았다.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던 에피쿠로스의 일생을 보면 놀랍기도 하다. 자신의 노예(미로니아노스-미스)에게도 철학을 가르쳤고, 그가 설립한 학교인 정원은 고대 철학학교 중 제일 먼저 여성을 학생으로 받아들인다.
에피쿠로스가 저자로 명기되어 있지만, 실제 이 책에 수록된 대부분의 글은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가 쓴 『저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에 수록되어 있는 글들이다. 물론 책 속에 등장하는 서신들과 6장의 주요 가르침들은 에피쿠로스가 썼다고 전해지지만, 그 또한 디오게네스의 책에 나온 내용을 번역하여 실었다. 물론 1장에 등장하는 에피쿠로스의 생애 역시 그가 쓸 수 없기에,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글을 실었다.
우리는 자신에게 속한 것이 선하고 유익한 것이든 아니든,
남들이 칭찬하든 그렇지 않든,
우리에게 고유한 것을 여겨 존중한다.
따라서 우리는 남들에게 고유한 것도 우리 마음에 들든
그렇지 않든 존중하는 것이 마땅하다.
쾌락이라는 어감 때문에 에피쿠로스는 성악설처럼 인간에 대한 부정적 생각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 지레짐작했는데, 막상 그가 남긴 어록이나 가르침들을 보면 오히려 성선설을 가지고 있었다고 여겨졌다. 또한 그는 오히려 많이 가진 것을 긍정적으로 여기지 않았다. 그가 이상향으로 제시한 아타락시아의 경우를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많이 가질수록 부를 충족시키기 위해 오히려 고통을 야기할 수 있기에, 오히려 그는 가난한 사람이 더 쾌락에 가까운 사람이라 말했다.
인생의 본성적인 목적에 비추어 평가한다면, 가난은 큰 부인 반면,
무한한 부는 큰 가난이다.
이 책을 통해 에피쿠로스를 만나지 못했다면 어땠을까? 적어도 그는 욕망만을 따르고, 퇴폐적일 정도로 쾌락만을 좇는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을 듯싶다. 오히려 에피쿠로스의 사상이 다른 철학자들의 사상보다 더 금욕적이고 소박하게 느껴지는 것은 느낌 탓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