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청 - 잃어버린 도시
위화 지음, 문현선 옮김 / 푸른숲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 개의 큰 이야기가 하나로, 때론 두개로 이어진다. 허삼관 매혈기를 통해 이미 낯이 익은 중국 작가인 위화의 신작이다. 한국어판 서문을 통해 위화는 자신의 나라 중국의 이야기를 이 책에 풀어냈다고 한다. 일본으로부터 강압적인 조약을 맺었던 그 시기의 이야기는 우리에게도 낯이 익다. 우리 또한 일본으로부터 오랜 시간을 고통을 겪었으니 말이다.

한자로는 문성(文城)이라 쓰여있지만, 중국어 발음은 원청이기에 이 책의 제목은 원청이라 쓰여있다. 그뿐만 아니라 책 속에 등장하는 인물의 이름 역시 중국어 발음 그대로 담겨있다. 왠지 그래서 더 실제적이라는 느낌이 든다. 원청 속 시대 배경은 청나라 말기에서 중화민국 초기까지의 일이기에 대략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정도의 이야기가 될 것이다.

작품의 시작은 린샹푸가 어린 딸 린바이자를 안고 추운 겨울 젖동냥을 다니는 장면이다. 린샹푸는 이곳이 원청이냐고 사람들에게 묻는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곳이 시진이라고 말한다. 왜 린샹푸는 딸을 안고 추운 겨울 원청을 향해 다니는 것일까? 이야기는 다시 과거로 돌아간다.

부유한 목수의 집에 아들로 태어난 린샹푸는 5살에 아버지를 잃는다. 아들에게 책상과 걸상을 만들어주다 갑작스럽게 사망한 아버지를 대신해 어머니는 린샹푸를 키운다. 다행히 린샹푸의 집에서 일하는 집사 텐다의 5형제들이 린샹푸를 도와 농사를 해내간다. 하지만 여자 혼자의 몸으로 린샹푸를 키운 어머니마저 이른 나이에 세상을 뜨게 된다. 다행히 아버지의 목공일을 이어받아 솜씨가 있었던 린샹푸는 마을의 유명한 목수들을 통해 기술을 배운다. 그뿐만 아니라 어머니가 생전에 린샹푸의 짝을 찾아다녔듯이 자신의 아내를 찾아 나선다. 마음에 들었던 여인을 오해로 놓친 어느 날, 두 남녀가 린샹푸의 집을 찾아온다. 자신은 남쪽 원청 사람인 아창이라고 소개한 남자는 함께 온 여성을 자신의 동생 샤오메이라고 소개한다. 부모를 잃고 이모부를 찾아가는 길에 마차의 바퀴가 고장 나서 신세를 지려는 둘을 린샹푸는 맞아들인다. 다음 날, 출발하려는 데 갑자기 샤오메이가 앓아눕는다. 결국 아창 혼자 길을 떠나고, 샤오메이는 린샹푸와 머물게 된다. 남녀의 이야기는 어쩔 수 없는 것인지 절구공만한 우박이 쏟아진 날, 린샹푸와 샤오메이는 밤을 보낸다. 그리고 부부의 연을 맺는다. 린샹푸는 아내인 샤오메이에게 자신의 집 문서와 함께 조상 대대로 모았던 금괴들을 보여준다. 그리고 얼마 안 돼 샤오메이는 오지 않는 오빠 걱정과 함께 근처의 부모님의 제를 드릴 곳을 묻고 길을 나선다. 하지만 그렇게 떠난 샤오메이는 돌아오지 않는다. 물론 린샹푸가 알려준 금괴의 반을 들고 떠났다. 하지만 몇 달 후 샤오메이는 돌아온다. 금괴를 어떻게 했냐는 물음에 아무 대답도 하지 않는 샤오메이. 그녀는 린샹푸의 아이를 임신했다. 하지만 아이를 낳고 오래지 않아 다시 사라진다. 린샹푸는 샤오메이를 찾아 아창이 말한 원청을 향해 핏덩이 딸 린바이자를 데리고 길을 떠난다. 둘과 비슷한 말씨를 쓰는 곳에 도착했지만 그곳은 원청이 아니라 시진이라 했다. 눈이 쌓여 길을 나서기 어려운 날 만나게 된 천융량과 리메이롄 부부를 통해 젖동냥을 하게 된 린샹푸는 결국 천융량의 집에 머무르며 목수 일을 시작한다. 솜씨가 좋기도 하고, 마음이 예쁜 천융량과 린샹푸의 목공소는 시진에서 유명한 곳이 된다. 물론 린샹푸는 이곳에서 샤오메이를 찾기 위해 머무는 것이었지만 말이다. 아이들이 성장하고 동네의 유력한 상인 회장인 구이민의 큰 아들 구퉁녠과 약혼을 하게 되는 리바이자. 하지만 도둑인 토비에 의해 린바이자는 납치되는 상황에 처하게 되지만 리메이롄은 린바이자 대신 자신의 큰아들인 천야오우를 보낸다. 몸값을 요구하는 토비들에게 보낼 돈을 마련했지만, 북양군과 국민혁명군 간의 내전 때문에 제때 돈을 보내지 못하고 결국 천야오우의 귀가 인편으로 전해지게 되는데... 과연 천야오우는 집으로 무사히 돌아올 수 있을까?

북양군과 국민혁명군 간의 전쟁뿐 아니라 토비들에 의해 잔인하게 살해되고, 고문을 당하는 장면은 너무 끔찍했다. 돈을 노린 도둑 토비들의 행동은 일본군의 행동과 그리 다르지 않았으니 말이다. 잔인한 시대상과 재난에 가까운 천재지변 그리고 전쟁. 그 어떤 상황도 녹록지 않다. 그래서 더 아픈 이야기가 된 것 같다.

한편, 책 뒷부분에는 또 다른 이야기가 연결된다. 바로 린샹푸가 찾아 나선 샤오메이와 아창의 이야기다. 예상대로 샤오메이와 아창은 부부였다. 샤오메이는 어려운 시절 민며느리로 11살 나이의 수선집을 하는 아창의 집으로 시집을 갔다. 과연 이 둘 사이에는 어떤 이야기가 숨어있는 것일까? 그리고 린샹푸와 샤오메이는 다시 재회할 수 있을까? 시대적 배경과 함께 가슴 아픈 가족사가 등장해 벽돌 책임에도 순식간에 읽어나갈 수 있었다.

사실 저자 서문에 담긴 "모든 사람의 가슴에는 원청이 있다."라는 말의 의미가 궁금했다. 그랬기에 책을 읽으며 그 뜻을 찾아보려 했다. 실제 존재하지 않는 도시 원청을 향해 샤오메이를 찾아 나선 린샹푸. 그는 어떤 마음으로 샤오메이를 찾아 나선 것일까? 또한 아창과 샤오메이는 있지도 않은 도시 원청에서 왔다고 이야기했을까? 책을 읽으며 궁금했던 부분이 하나하나 풀려나가며 속은 시원해지지만, 진실에 가닿지 뭔지 모를 안타까움과 답답함이 돋아나기도 했다. 그럼에도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 속의 평범하지 않는 이야기가 풀어지며 위화의 작품은 이번에도 여운과 애달픔을 동시에 맛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