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톡홀름에서 걸려온 전화 - 노벨상 수상자 24명의 과학적 통찰과 인생의 지혜
스테파노 산드로네 지음, 최경은 옮김 / 서울경제신문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카이스트를 다룬 드라마를 본 기억이 있다. 당시 과학과 수학 쪽의 천재소녀였던 한 학생이 했던 멘트가 십수 년이 지난 지금도 기억에 남는다. 과학처럼 인간관계도 명료한 수치와 매뉴얼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뜻의 이야기였다. 노벨상 수상자인 로알드 호프만 교수 역시 그와 비슷한 이야기를 책을 통해 한다.

스톡홀름에서 걸려온 전화는 무엇을 말할까? 스웨덴 스톡홀름은 노벨상과 관련이 많은 도시다. 시청사에서 시상식이 열리고, 노벨상 박물관도 있다. 이 책은 노벨상을 수상한 24명의 과학자들에 대한 인터뷰가 실려있다. 그들과 인터뷰를 진행한 사람은 이탈리아 출신 뇌과학자인 스테파노 산드로네다. 사실 노벨상 중에 관심 있는 분야는 딱 한 분야(노벨문학상)다 보니, 이 책 속에 등장한 수상자들의 이름이 무척 낯설다. 다른 의미로 이 책에 등장한 인물들은 자신의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긴 사람들이다. 일반인들과 좀 다른, 소위 천재인 그들은 과연 이 책을 통해 어떤 이야기를 털어놓을까 궁금했다.

물론 그들이 어떤 분야에서 어떤 업적을 남겼는지는 저자와의 대화를 통해 얼핏 알 수 있다.(아무래도 이 책은 학술지가 아니기에, 과학 전문가가 아닌 일반 독자들을 위한 책이기에 가볍게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이즈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인 HIV를 분리해냈던 프랑수아즈 바레시누시, 코로나 검사로 익숙해진 PCR(중합효소연쇄반응)을 개발한 캐리 멀린스 등의 연구 결과처럼 용어가 익숙한 내용도 있지만, 녹색형광단백질을 발견. 개발한 마틴 챌비처럼 용어 자체도 낯선 경우도 상당수 있었다. 물론 그들의 삶과 과학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 그리고 후배 과학자들을 위한 미래의 조언이 주된 내용이지만 말이다.

제각기 다른 분야에서 최고의 업적을 이뤄낸 그들에게 저자는 공통된 질문을 한다. 노벨상을 수상했다는 전화를 받았을 때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어떤 기분이었는지다. 그 이야기는 노벨상이 그들의 삶에 미친 영향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 같다. 한 과학자는 자신이 노벨상을 탈 줄 예상했냐는 질문에 매년 동료들이 올해 노벨상 수상자는 누구인지는 물어온다는 대답을 했다. 그리고 자신이 말한 사람이 수상하는 경우는 10 년에 한 번 정도 맞춘다는 말과 함께 그만큼 노벨상을 탈만한 과학자들이 도처에 있다고, 자신은 운이 좋았기 때문에 상을 탈 수 있었다고 이야기한다. 또 한 과학자는 노벨상을 위해 연구를 하는 것은 부정적 효과를 낼 수 있다고도 이야기했다. 연구가 목적이 되어야지, 상이 목적이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방황을 하거나, 학교를 자퇴하는 사람도 있었다. 부모를 일찍 잃었던 과학자, 사랑하는 가족과 친구를 잃고 우울증을 경험한 사람도 있었다. 그럼에도 그들은 자신이 가진 인생의 목표와 과정들을 소중하게 여겼다. 때론 그 상황을 즐기기도 하고, 주위에 모든 사람들을 통해 배움을 얻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