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에서 식탁까지 - 모두에게 이로운 먹거리 생각
마크 뒤퓌미에 지음, 손윤지 옮김 / 북스힐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를 키우는 엄마다 보니 자연스레 먹거리에 관심이 생긴다. 유전자 조작이나 유해 물질들이 포함된 식재료나 음식에 대한 뉴스를 접할 때마다 여러 가지 걱정에 휩싸이기도 한다. 과연 우리 아이에게 문제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 때문이다. 그렇다고 친환경 농산물로만 식탁을 차릴 형편은 아니기에, 시골에서 농사를 지으시는 시부모님의 도움을 받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일까? 이 책의 제목을 보는 순간, 관심이 앞섰다. 모두에게 이로운 먹을거리라는 소제목이 와닿았기 때문이다.

책 속에는 내가 고민하고 있는 식재료와 먹을거리에 대한 이야기도 담겨있지만, 그보다 앞서서 지구의 건강(?)을 위한 이야기에 더 포커스가 맞추어져 있는 것 같다. 가령 철에 맞지 않는 딸기에 대한 이야기를 보자면 제철이 아닌 식재료가 주는 영향의 주된 이야기는 그 식재료를 키우기 위해 들어가는 각종 에너지에 대한 이야기가 더 중요해 보인다. 이 책의 저자는 프랑스 인이어서 그런지, 전체적인 이야기의 상황이 프랑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우리의 경우도 딸기는 봄(3월 이후)이 제철인 과일이지만, 지금(12월)도 시장에 가면 어렵지 않게 딸기를 볼 수 있다. 나 역시 며칠 전에도 딸기가 먹고 싶다는 아이들을 위해 딸기를 구입했으니 말이다. 문제는 책 속에 시기에 맞지 않는 식재료를 키우기 위해 비닐하우스와 같은 시설물의 적정온도를 위해 들어가는 화석연료와 그렇게 생산된 식재료를 나르기 위해 필요한 운송 방식(프랑스의 경우 제철은 5월이지만, 3월에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역에서 생산된 딸기들이 프랑스로 들어온다고 한다.)에 드는 비용과 연료, 무엇보다 딸기를 재배하기 위해 사용되는 살충제 잔여물이 내분비계 교란 물질이기에 유아들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까지 다양한 이유로 인해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이야기를 꺼낸다.

이런 식으로 책 속에는 다양한 주제의 우리 실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식재료와 도시와 농촌 간의 불균형, 산업 간 문제와 생산방식 등 다양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물론 물 부족이나 유기농 재료 사용, 동물복지, 공정무역과 같은 거시적인 지구의 문제들에 대한 문제 제기뿐 아니라 꿀벌 멸종, 생선 속 중금속, 육류 섭취, 수돗물과 페트병의 물 중 어느 것이 나을지 와 같은 솔깃한 주제들에 대한 답도 담겨있다.

보통 2페이지 정도로 구성되기에 50가지 주제를 모두 접하는 데 긴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중간중간 흥미로운 주제들이 담겨있기에 지루하지도 않다. 물론, 책 속 이야기가 아무래도 프랑스를 중심으로 다루어지기 때문에 우리 상황에서 실제적이라는 느낌이 좀 덜 드는 기분이 들기도 한다.

건강한 식재료를 위해서는 지구를 지킬 필요가 있다. 근시안적인 생각과 행동이 아닌 미래를 생각하고 준비할 필요가 있다. 물론 그러기 위해 각가지 협약이 생긴 거긴 하지만 이 책에도 주제로 등장한 기후변화협약의 실효성은 여전히 미미하다. 단시간의 편의를 위한 행동들이 환경파괴의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함께 협조할 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