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시대정신이 되다 - 낯선 세계를 상상하고 현실의 답을 찾는 문학의 힘 서가명강 시리즈 27
이동신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SF 소설의 맛을 알게 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작년 천선란의 『천 개의 파랑』이라는 작품을 읽은 후 SF의 맛을 제대로 알았던 것 같다. 그전까지만 해도 SF 소설은 마냥 어렵고, 허무맹랑한 장르라는 생각이 컸기 때문이다.

서가명강 27번째 책은 바로 이 SF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영어영문학자이자 서울대 교수인 저자를 통해 SF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있게 만날 수 있었던 시간이었던 것 같다.

SF와 판타지의 차이가 무엇일까? 명료한 정의를 내리기 어렵지만, 개인적으로 SF와 판타지를 다른 장르라고 생각하는 사람 중 하나였다. SF는 공상"과학"에 포커스가, 판타지는 "공상"과학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고 생각했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SF와 판타지를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저자 역시 SF와 판타지를 사촌 간이라고 표현하니 말이다.

그렇다면, SF 소설의 시작은 어떤 작품일까?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이 먼저 출간되긴 했지만 이 책의 저자는 허버트 조지 웰스의 타임머신을 시작점으로 본다. 왜 그럴까? 물론 프랑켄슈타인에도 SF적 요소가 담겨있긴 하지만, 타임머신이라는 기구를 통해 인간이 시간개념을 뛰어넘는 새로운 차원을 등장시키고, 그 차원을 인간 스스로 조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우연이 아닌, 인간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시작점이 바로 타임머신이기 때문이다. 그와 함께 저자는 SF의 두 가지 요소로 다르코 수빈의 인지적 낯섦, 노붐을 이야기한다.

저자는 성공적인 SF 작품의 예로 꼽은 작품은 무엇일까? 이미 여러 시리즈로 유명한 스타워즈를 꼽는다. 스타워즈 시리즈의 권선징악이 명료하기에 뻔한 스토리지만 그럼에도 인기를 끄는 이유 중 하나가 우주선과 같은 새로운 볼거리와 함께 요다와 같은 등장인물의 매력 때문이라고 언급한다.

그와 함께 과거에 비해 SF 작품이 판타지보다 인기를 잃어가는 이유로 저자는 현실도피를 든다. SF가 과거에 비해 과학적 요소들을 더 리얼하게 다루다 보니 상대적으로 현실도피를 놓치게 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판타지는 그 기간 동안 승승장구한다.(반지의 제왕, 해리포터 시리즈 등) SF는 판타지뿐 아니라 타 장르로부터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인데, SF가 살아남으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SF는 상상력을 자양분으로 한다. 리얼리티를 살리고 흥미를 불러일으킬만한 요소들을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다. 그뿐만 아니라 SF의 발전에는 저자들의 노력만큼이나 독자들의 관심도 필요하다. 양질의 작품이 나오도록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때다. 과거의 상상 속 이야기들이 현실에서 실제로 벌어진다. SF의 상상력은 현재 진행형이다. 그리고 그 상상력은 또 다른 과학이 발전으로 이어진다. 앞으로도 더 흥미롭고 다채로운 작품들을 많이 만나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