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손목시계의 교양 - 내 손목에 있는 반려도구의 인문학
시노다 데쓰오 지음, 류두진 옮김 / 한빛비즈 / 2022년 10월
평점 :
한동안 손목시계에 빠져 살았던 적이 있었다. 처음에는 필요에 의해서, 나중에는 손목시계의 매력에 빠져서 한동안 시계를 모았다. 물론 자금 사정 상 메이커나 고가의 시계가 아닌, 내 눈에 예쁘고 괜찮아 보이는 제품들이 전부였지만 말이다. 물론 지금은 손목사정도 좋지 않고, 시계의 용도는 핸드폰이 하고 있기에 서랍 한쪽에 모셔져 있는 상황이다. 사실 제목을 보고 좀 놀라웠다. 손목시계에 대해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 소위 마니아층을 위한 책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가지고 책을 펼쳐보았다. 이번에도 내 생각은 기우였다. 6개의 큰 테마로 나누어진 손목시계에 의한, 손목시계에 대한 이야기는 참 흥미로웠다. 그와 함께 쉽게 접하지 못할(상당히 고가의!) 손목시계의 자태도 함께 만날 수 있으니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이와 함께 교양도 쌓을 수 있다니 일석이조가 아닐까 싶다.
시계하면 떠오르는 나라는 어디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위스를 이야기할 것이다. 스위스는 왜 시계 강국이 된 것일까? 예상과 다르게, 시계의 역사학 파트에서는 반전을 만났다. 원래 시계 강국은 프랑스였다는 사실이다. 루이 14세의 종교탄압으로 인해 시계 기술자들이 옆 지역 스위스로 건너가게 되었고, 거기서 기술을 이어나가면서 지금의 스위스가 시계산업을 이끌어나가는 기틀이 마련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최초의 손목시계는 누구를 위한 것이었을까? 여기에도 소설만큼이나 극적인 반전이 담겨있다. 지금은 명품 손목시계를 차고 다니는 사람들 중에 여성보다는 남성이 많은 게 사실이다. 근데, 세계 최초의 손목시계는 여성을 위해 만들어졌고, 당시 시계 역시 시간의 역할보다는 사치품과 같은 장식품(액세서리)의 역할을 했다고 한다. 교회의 기도 시간을 알리기 위한 첨탑의 큰 시계가 점점 작아지게 되었으니 얼마나 기술적인 부분에서 힘을 쏟아야 했을까?
텍스트의 흥미로움과 함께 실제 시계의 자태를 사진을 통해 만날 수 있었는데, 가장 기억에 남는 시계 중 하나가 이 사진 속 시계였다. 저 작은 기판 안에 날짜, 요일, 시간에 윤년 표기까지 된다니... 실로 놀라울 따름이다. 이 모든 것이 전자가 아닌 많은 부품들에 의해 기계식으로 구성된다고 하니 세밀한 공정 하나까지 설계하고 실험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만드는 것이 보통 일이 아닐 뿐더러, 왜 그리 고가에 팔리는지 이해가 되기도 했다.
그저 시간을 알려주는 정도에만 머물 줄 알았던 시계는 그 이후도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생활방수뿐 아니라 흠집에서 벗어나기 위해, 각종 자성을 가진 물건들(핸드폰, 가방 자석, 핸드폰 케이스 자석 등)로부터 안전을 지키기 위한 소재의 진화, 기계식 시계의 한계일 수 있는 시간의 오차를 줄이기 위한 연구, 다양한 디자인과 심미적 요소들을 살리기 위한 노력 등 참으로 다양한 노력들이 집약되어 만들어졌다는 사실이 참 매력적이었다. 소위 장인이 한 땀 한 땀 파고 깎아서 만들어낸 기요세 뿐 아니라, 그저 파란색으로 칠했다고 생각했었던 시계 침을 300도가량의 불로 연단시켜 색을 표현해냈다는 사실을 통해 역시 아는 만큼 보이겠구나! 하는 생각도 해봤다. 이 책을 만나지 못했다면 전혀 몰랐을 사실 들이니 말이다.
그 밖에도 사실 고가의 시계하면 떠오르는 롤렉스! 말고는 아는 시계 브랜드가 없었는데, 책의 마지막 장에 등장하는 시계 업체들의 이름을 보고 정말 놀랐다. 애호가들 사이에서는 시계만 봐도 대략 얼마인지 알 정도로 유명한 시계부터, 각 시계의 특징이나 성격이 있다는 것도 이번에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소위 명품을 상징하는 여성의 가방, 그리고 남성의 손목시계. 남에게 보이기 위한 용도라면, 이 모든 장인들의 수고가 좀 아깝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진정한 명품은 가치를 알아보고, 그에 맞게 사용하고 행동하는 사람이 지닐 때 제대로 된 값어치를 하는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