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폴론 저축은행 - 라이프 앤드 데스 단편집
차무진 지음 / 요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이란 사는 것이다.

살아서, 살아가는 것이 쌓여서 죽음이 되는 것이다.

사는 것이 다 되어야 죽는 것이다.

여기 삶이 있고, 죽음이 있다. 둘은 차이가 크지만, 둘은 또 비슷하기도 하다. 단지 존재한다고 느끼는 사람의 인식 차이일까 싶을 정도로 찰나에 둘은 뒤 바뀐다. 이 책을 펼쳐볼 즈음에 벌어진 믿기 힘든 참사에 내려앉은 감정이 도무지 올라올지를 모른다. 그래서 이 책 속에 등장하는 Life and death라는 부제가 그 어느 때보다 묵직하게 느껴졌던 것 같다. 누구도 내 삶이 언제 시작될지, 그리고 끝날지 모른다. 어찌 보면 반전이라고 표현하는 이야기들이 각 작품의 중반부를 넘어가면 등장한다. 그리고 그 반전은 누가 살아있고, 누가 죽어있느냐다.

총 8편의 단편소설이 수록되어 있는데, 아폴론 저축은행은 8편의 작품 중 한 작품의 제목이다. 결이 다른듯한, 각기 다른 배경을 가진 작품들이 등장하지만 작품을 이어주는 유일한 주제는 삶과 죽음이다. 죽기 전에 그가 어떤 삶을 살았는지도 이 책 안에서는 중요하다.

길지 않은 작품들도 있고, 상당한 분량이 되는 작품들도 있지만 끝까지 읽어봐야 묘미를 맛볼 수 있다. 표제작도 좋았지만, 첫 번째 수록된 작품인 그 봄과 이중 선율이 특히 기억에 남는다. 그 봄이라는 작품은 아빠가 사망하고, 엄마와 떨어져 절에 사는 두 형제 시원과 시율의 이야기다. 어딘지 모르는 산골 암자에 살고 있는 시원과 시율은 늘 엄마가 그립다. 절에 있는 누구도 형제를 따뜻하게 대하지 않지만 그나마 산적스님만 형제와 말을 섞는다. 12살 시원 역시 엄마가 그립다. 하지만 동생처럼 마냥 엄마를 그리워할 수 없다. 형이기 때문이다. 일 년에 하루, 엄마는 형제를 만나러 온다. 스님은 그날은 형제를 위해 하루 동안 그들 가족만 있도록 자리를 비워준다. 하지만 언제 왔는지 모르는 엄마는 또 언제 가는지 모르게 사라진다. 엄마가 올 때는 맛난 케이크와 시원이 좋아하는 게임팩, 시율이 좋아하는 곰 젤리와 스케치북을 사 온다. 언제 온 지, 가지도 모르는 엄마기에 시원은 혹시 엄마가 귀신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근데, 엄마가 작년에는 오지 않았다. 보살 할머니들을 통해 들은 얘기는 엄마가 아기를 낳아서 오지 못했다고 한다. 엄마는 정말 시원. 시율 형제를 버린 것일까?

아이를 키우는 엄마이기에 피눈물이 흐른다. 예상치 못한 결말에 손이 부들부들 떨린다. 누구의 감정도 안아줄 수 없어서였다. 아이들을 보듬어야 할까, 엄마를 보듬어야 할까? 마지막에 다다라서야 그 모든 것이 이해되었다. 이해할 수 없던 게 한순간에 풀려 허무할 정도다.

이중 선율이라는 작품은 타지에서 사망한 망자를 장례식장까지 운구하는 운구용 구급차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그날은 서울에서 광주까지 시신을 날라야 했다. 망자는 얼마 전, 큰 화재로 사망한 여성이었다. 혹시 함께 타고 갈 가족이 있나 싶었는데, 친구로 보이는 여성이 함께 가겠다고 했다. 아무리 절친한 사이라도, 시신과 함께 타고 가는 게 영 내키지 않을 것 같다. 역시 여성은 두려워 보였다. 그리고 또 한 명의 동승자는 사망한 여성의 사건을 전담했던 소방서에 근무하는 여자 소방관이었다. 조금이라도 빨리 도착하려는 운전자는 150킬로 넘게 과속을 한다. 이유는 망자와 마지막 인사를 나눌 시간을 조금 더 벌어주기 위해서이다. 근데 뭔가 좀 기묘하고, 이해가 안 가는 상황이 자꾸 벌어진다. 역시 결말에 가야 이 모든 게 명쾌히 풀린다. 오랜 시간 차를 타고 가다 보니 무료해진 소방관은 노인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묻고, 직업 때문에 수시로 중환자실에 들어가는 노인은 자신의 눈에만 보이는 나비 이야기를 한다. 그리고 이 나비이야기는 이 차에 타고 있는 인물들과 중요한 연결고리가 된다.

삶과 죽음. 그 뒤바뀐 날은 어느 누구도 짐작할 수 없다. 그저 책 속 한 줄처럼 삶이 사라지는 날이 죽는 날이 될 뿐이다. 언제일지 모르기에 매일을 후회 없이 살아야 하지만, 아직 죽음이 와닿지 않는다. 삼풍사고 생존자 산만언니의 기사를 읽었다. 얼마 전 일어난 이태원 참사에 대해 묻는 연락이 많아졌다고 한다. 그저 평범한 날이었다는 그녀의 말이 유독 와닿았다. 죽이기 위해, 죽기 위해 간 것이 아닌 그저 평범한 날이었고, 그 평범한 날 예상치 못한 일이 벌어진 것이라고... 생명이 끊어지지 않았다면 그저 그런 평범한 하루가 되었을 날. 책 속 인물들의 각기 다른 사연 속에 담겨있는 그 평범한 날을 맛보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