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화로 배우는 불멸의 역사 - 연금술사에서 사이보그까지, 인류는 어떻게 불멸에 도전하는가 ㅣ 한빛비즈 교양툰 19
브누아 시마 지음, 필리프 베르코비치 그림, 김모 옮김, 홍성욱 감수 / 한빛비즈 / 2022년 9월
평점 :
제목이 호기심을 자극한다. 불멸의 역사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인간은 불사신을 꿈꾼다. 죽지 않고 더 오래 사는 것이 인간의 꿈이었다. 이 책은 바로 그에 대한 이야기다.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불로초를 찾아다녔던 진나라 시황제 이야기는 동양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서양 동로마 제국에도 기독교의 첫 번째 이단으로 불리는 그노시스파에서는 육체인 물질세계는 불완전하고, 정신세계는 완전하다는 이원론을 펼쳤다. 육체를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죽음에서 벗어나야 하는데, 그들이 생각해 낸 방법은 육체의 쾌락을 최대화하는 것이었다. 지금도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형태를 뛰어넘는 자유로운 성생활이 그들을 완전하게 해준다는 이론을 펼쳤다.(기원전 2세기인데... 대단히 놀랍다.) 그 이후 이원론은 연금술로 발전한다. 연금술은 증류기를 통해 가장 순수하고 완전한 물질을 분리해낼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16세기에 이미 인조인간을 만드는 방법이 기록된 문서를 발견했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불멸의 시작은 이원론에서부터 크다. 불완전한 육체를 완전하게 만들기 위해 인간은 여러 생각을 거듭했고, 완전하게 만드는 것만이 죽음을 벗어날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했다. 그렇게 트랜스 휴머니즘이 시작되었다.
트랜스 휴머니즘
과학기술을 통해 인간의 한계를 넘으려는 지적 운동
초기의 트랜스 휴머니즘은 자동기계를 발명하면서 인간도 그와 궤를 같이 한다고 봤다. 기계처럼 인간도 자동 태엽으로 움직이는 기계장치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르네상스를 거치며,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생각하기 시작하면서 트랜스 휴머니즘의 방향도 달라지기 시작한다. 가령 인간을 도울 있는 계산기와 같은 자동 기기들이 발전하는 반면, 인간을 개량화하여 우월한 유전자만을 골라 후대로 전승하고자 하는 우생학으로 발전되기도 한다. 우생학은 결국 제1.2차 대전과 나치즘에 영향을 미쳐 수많은 전쟁을 야기하고, 많은 인명을 살상하는 주된 이유가 되기도 했다. 물론 이런 생각은 지금도 여전히 이곳저곳에서 영향을 미친다.(출산 전 기형아 검사도 우생학의 한 갈래라고 한다.)
불멸의 역사 속에는 전쟁이 빠질 수 없는데, 아이러니한 것은 전쟁이 인류의 상당한 해를 입히긴 했지만 과학기술의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컴퓨터의 발전과 함께 불멸의 역사는 급속도로 성장한다. 그에는 장기이식과 인공지능, 뇌인지 과학 등 다양한 분야로의 발전이 포함된다.
서술된 방대한 내용들 자체가 쉽지 않았을 내용이었지만, 만화로 접근하니 한결 수월하게 읽을 수 있었다. 특히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서술자로 컴퓨터 공학의 토대를 마련한 앨런 튜링이 등장해서 역사를 되짚어주는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책의 중반부가 지나면서 등장한 인공지능은 과연 인류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까? 우생학이 만연했던 당시에는 우생학이 인류의 큰 발전을 이룰 거라 생각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명과 암이 선명히 드러났던 것처럼 인공지능과 불멸의 역사 역시 지금 당장의 결과는 알 수 없지만, 과학의 발전은 득만큼 실도 있다는 사실은 자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