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위대한 식물 상자 - 수많은 식물과 인간의 열망을 싣고 세계를 횡단한 워디언 케이스 이야기
루크 키오 지음, 정지호 옮김 / 푸른숲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제목을 설 읽고 약간의 오해를 했다. 제목이 길긴 하지만, 책의 방점은 "세계사"가 아닌 "식물 상자"다. 이 책은 후자에 관한 이야기임에도, 나는 다분히 전자에 집중을 했던 것 같다. 좀 더 이야기하자면 상자는 빼먹고 식물까지만 눈에 들어왔다. 그랬기에 책 첫 장에 나오는 "워디언 케이스(wardian case)"라는 단어를 읽고도 감을 잡을 수 없었다.

무역과 다자간 거래 등으로 우리는 지구 반대편의 식물이나 과일조차 어렵지 않게 우리 밥상에서 먹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이제는 열대과일인 것조차 잊어버릴 정도로 익숙한 바나나나 매일 두 잔씩 마시는 커피처럼 (세계 여행을 하지 않았다면) 우리가 접할 수 없는 식물들이 상당함에도 말이다. 한국인의 소울메이트라 할 수 있는 김치 속 빨간 고추, 점점 익숙해지는 망고, 용과, 애플망고, 건강에 좋다고 하는 아보카도 등도 우리나라 자생식물들이 아니다.

세계사의 대단한 발명 중 하나인 워디언 케이스는 친절하게 제목에서 번역되어 있듯이 식물을 이동하는 상자를 의미한다. 1829년 외과 의사이자 아마주처 박물학자였던 너새니얼 백쇼 워드는 우연히 값진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밀폐된 유리병 안에서 식물이 시들지 않고 오래 사는 것을 보게 된 것이다. 그는 이끼 등을 가지고 여러 차례 유리병 안에서 키운다. 그리고 그는 영국의 식물을 호주로 이동시킨다. 바로 유리로 만든 워디언 케이스에 넣어서 말이다. 그의 실험은 대단한 성공을 거둔다. 영국에서 호주까지 배로 6개월가량의 여정을 식물이 죽지 않고 버텨준 것이다. 물론 과거에도 식물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시도는 있었다. 기록상으로 처음 등장하는 게 기원전 1450년 경 이집트인들이 소말리아에서 향료나무를 가져오는 것이라고 하니 상당히 오래전부터 그런 시도가 있어왔다는 것이다.

워디언 케이스를 통해 식물들은 좀 더 안전하고 자유롭게 식물의 이동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빛이 있으면 그늘이 있게 마련이다. 워디언 케이스를 통해 우리의 삶이 변화된 것은 맞지만 그에 따른 악영향 또한 간과할 수 없는 법. 저자는 워디언 케이스가 일으킨 긍정적 변화와 함께 부정적인 결과에도 포커스를 맞춘다. 외래식물과 함께 묻어온 병충해로 생태계가 무너지고, 토종 생물들이 멸종하는 끔찍한 결과뿐 아니라, 일명 돈벌이가 되는 식물들을 대규모 농장화하여 식민지화 만드는 열강들의 모습은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다. 현재는 사라진 워디언 케이스의 역사와 함께 그로인한 득과 실을 책 한 권에서 만나볼 수 있었다.

그러고 보면 긍정적인 영향만 끼치는 것은 없나 보다. 물론 워디언 케이스를 발명한 워드 역시 이런 결과를 예상한 것은 아니었을 테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