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백합의 도시, 피렌체 여행자를 위한 인문학
김상근 지음, 하인후 옮김, 김도근 사진 / 시공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 작인 나의 로망, 로마에 이어 두 번째 만나는 김상근 교수의 여행자를 위한 인문학이다. 인문학을 접근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저자의 방식은 특히 인문학 초심자들에게 유용할 것 같다. 인문학 보다 여행에 대한 부담감이 덜하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이탈리아 피렌체 여행이라 쓰고 마키아벨리라 읽을 수 있는 이 책은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만약 반대로 마키아벨리를 전면에 내세웠다면... 아마 지레 겁먹고 책 표지조차 펼쳐보지 않는 독자들이 있을 테니 말이다.

전 작과 달리 이 책에는 번역자가 등장한다. 책 서두의 그와의 관계와 이 책이 나오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완역은 했으나, 공급에 비해 수요가 적은 관계로 안타깝게 사장될 뻔한 하인후 역자의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를 바탕으로 김상근 교수가 사랑하는 도시 피렌체의 역사와 문화 등이 어우러져서 책에 담겨있다.

이 책은 크게 두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216년~1434년까지의 피렌차사(평민의 시대)와 1434~1525년까지의 피렌체사(메디치 가문의 시대)로 나누어져 있다. 총 13장에 거쳐 피렌체의 유명한 명소들을 다룬다. 여행자를 위한 인문학이라는 부제답게 명소와 연결된 역사적 사건들이 등장하기 때문에 더욱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낯선 곳을 여행할 때는 가이드가 필요한 법. 눈치가 빠른 독자라면 파악했겠지만, 이 책의 가이드는 무려 군주론을 쓴 마키아벨리다. 책에 인용된 피렌체사의 저자 역시 마키아벨리다. 마키아벨리의 저서와 함께 피렌체의 피의 역사를 통해 세계사 뿐 아니라 인간사의 교훈까지 한 번에 얻을 수 있다.

저자가 언급한 피렌체의 3대 천재인 단테, 미켈란젤로, 마키아벨리(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뺀다. 피렌체로부터 내쫓기다시피 해서 결국 프랑스에서 사망했기 때문이다.)와 그들의 도시 피렌체는 여러모로 유서가 깊다. 특히 르네상스 기대하면 자연히 떠오르는 메디치 가문 역시 이 책의 한 장을 차지할 정도로 빼놓을 수 없으니 말이다.

사람 사는 곳은 비슷하게 마련인가 보다. 권력을 가진 사람들은 어떻게든 자신의 욕심을 채우고자 하니 말이다. 마치 우리의 붕당정치처럼 피렌체에도 두 당으로 나뉘어서 피 튀기는 복수의 복수를 거듭하는 모습을 책 속에서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다. 귀족으로부터 자유를 쟁취한 평민들은 자신들의 자유를 소중히 간직했을까? 글쎄... 배운 게 도둑질이라고 귀족들로부터 보고 배운 것이 그렇기에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층민들과 주변의 평민들을 대하는 걸 보면 역시 자리가 사람을 만드는구나! 싶다. 피렌체사의 주된 이야기는 계층 간의 투쟁이다. 지배하지만 지배하는 법을 몰랐고, 지배당하기 싫지만 자유를 지키는 법을 몰랐던 그들은 그저 서로를 향해 적대적인 감정만 드러냈을 뿐 서로 윈-윈 하는 방법을 몰랐다. 그렇기에 붉은 백합의 도시 피렌체의 이야기는 상당수가 반목에 대한 이야기였다.

역사는 돌고 돈다. 피렌체의 피의 이야기들을 통해 현대를 사는 우리 역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그렇다. 피렌체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역사의 교훈도 바로 이것이다.

지배하려는 자는 위엄을 지켜야 하고, 지배를 받지 않으려는 자는 만족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13곳의 명소를 여행하며,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와 역사를 통한 교훈까지 한 번에 얻을 수 있어서 일석삼조의 효과를 맛볼 수 있는 아주 유용하고 흥미로운 시간이었다. 기회가 된다면 저자가 마키아벨리의 글을 통해 언급했던 명소들을 둘러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지고 싶다. 어쩌면 또 다른 피렌체의 얼굴을 보게 될지도 모르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