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어떻게 살래 - 인공지능에 그리는 인간의 무늬 한국인 이야기
이어령 지음 / 파람북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별세하신 이어령 교수의 한국인 이야기의 마지막 시리즈는 인공지능에 관한 이야기다. 역시 이번에도 특유의 유머러스하고, 이해하기 쉬운 글이 담겨있다. 개인적으로 이어령 교수의 한국인 이야기를 다 읽었는데, 이번에도 문장 하나하나가 논리적으로 딱 들어맞는다는 생각을 계속하게 되었다. 왠지 연관이 없는 듯한 이야기라 생각했는데, 한국인과 AI는 다른 시리즈만큼이나 연결되었다.

사실 현직에서 은퇴를 하자마자 걸려온 한 통의 전화. 이세돌 바둑 기사와 인공지능 알파고의 바둑대결에서 알파고가 승리를 한 상황에서 이 교수의 논평을 싣고자 하는 기자의 전화였다. 팔순의 노 학자에게 왜 기자는 전화를 했을까? 이미 이 교수가 인공지능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알파고와 스마트폰의 이야기를 기점으로, 이 책은 시작된다. AI 이야기의 시작이 바둑대결이었기에 책 속에는 알파고와 이세돌, 바둑에 대한 이야기들도 한 주제를 차지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교과서에서 만났던 디지로그로 이 책의 문을 닫는다.

전혀 이어질 것 같지 않은 이야기가 고개고개 이어진다. 꼬부랑 고개는 한국인 이야기 도입부터 만날 수 있었기에, 세 번째 만나는 이야기는 이제는 친숙하다. 끊어질 것 같지만 끊어지지 않는 고개처럼 책 속에 담긴 이야기도 그렇게 서술된다. 어느 하나 생떼를 부리거나, 억지로 이은 느낌이 아니다. 그래서 더 재미있고 흥미롭다. 마치 옛이야기를 만나는 느낌도 들고 말이다. 가령 알파고에서 코끼리로 이어지는 내용은 이렇다.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을 보기 전에 우리에게 알파고는 아주 낯선 이름이었다. 그와의 대결로 모두가 아는 이름이 되어 버린 알파고. 마치 태어나서 처음 코끼리를 본 조선시대 사람들도 그렇지 않았을까? 조선 세종 때 우리나라에 소개된 코끼리와의 일과는 그런 식으로 등장한다. 책 속의 주제들 역시 이런 식으로 자연스레 연결되어 있다.

한국인 이어령은 우리 문화에 대한 마음이 깊다. 책의 고개마다 그런 분위기가 가득하다. 아마 그랬기에 이런 책을 쓸 수 있었던 것은 아닐까?

7장부터는 AI 하면 떠오르는 구글, 인터페이스 등의 좀 더 AI가 가미된 과학적 이야기가 등장한다. 그렇다고 어렵거나 따분하지 않다. 아니 젊은이들도 힘든 이런 내용들을 어떻게 그리 자연스럽게 소화할 수 있을까? 읽는 내내 혀를 내 둘렀다. 역시 시대의 지성, 대 학자는 아무나 될 수 없는 것 같다.

마지막 장에 이르러 옛 기억을 찾는다. 4차 산업혁명과 디지로그. 내가 이어령이라는 이름 석 자를 알게 된 것도 교과서에 실렸던 디지로그를 통해서였다. 당시는 왜 이리 어렵고 따분한지... 물론 성인이 되고 읽어보니 또 다른 맛이었다.(당시는 지극히 시험을 위한 교과서여서 그랬나 보다.) 디지로그는 또 "엇비슷"과 "되다"라는 말과 연결이 된다. 되다는 단군 신화와 연결되어 다시 한국인으로 연결된다. 저자는 사람다워지는 것의 의미를 소통과 사랑이라고 본다. 인간과 기계가 함께 살아가는 것. 공생으로 연결시킨다.

이미 우리가 사는 세계는 AI를 떠나서는 살 수 없다. 단지 기계로 치부하고, 인간과 단절시켜 생각한다면 발전할 수 없다. 한국인과 AI.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AI 시대를 통찰하는 눈과 지식을 겸비해야 할 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