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육아의 1단계는 말투입니다 - 심리상담치료사가 알려주는 아이 마음이 편안해지는 부모의 말습관
권예원 지음 / 리더북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참 괜찮은 엄마라고 생각했다. 꽤 오랜 시간 아이들과 함께 한 시간이 있었고, 나름 아이들과 좋은 관계들을 유지했기에 아이를 낳아도 그리 어렵지 않을 거라 생각했다. 둘째를 낳고 육아휴직을 하게 되면, 큰 아이와 보낼 시간이 더 많아지니 더 좋은 엄마가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근데 오산이었다. 둘째가 태어난 후 오히려 큰 아이와 함께 지내는 시간이 어려웠다. 얼굴을 붉힐 일이 더 많아졌고, 목소리 톤은 더욱 올라갔다. 참을성이 없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이 정도일 줄이야 싶을 정도로 스스로의 모습에 적잖이 당황했다. 그동안 큰 아이는 눈을 깜박이는 이상행동이 다시 시작되었고, 매사의 자신감을 잃어갔고, 말로 표현하기보다는 냅다 소리를 지르며 우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 책의 제목이 눈에 들어온 것도 바로 그 때문이었다. 아이의 문제가 아니라, 내 문제라는 것을 스스로 너무 잘 알고 있었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 중이었다. 책을 읽으며 내 얘기 같은 상황, 우리 아이 같은 상황이 무수히 많이 등장했다.

부모가 세상의 전부인 아이에게, 부모의 말은 선택의 여지가 없는 정답이다. 그렇기에 부모의 말투에서 아이는 자신이 미래의 모습도, 자신의 현재의 모습도 발견한다. 부모의 말이 왜곡되고, 날카로울 때조차 그것이 사실이라 받아들인다. 그래서 아이는 그대로 생각한다. 자존감이 낮은 부모 아래서 자존감이 낮은 아이가 나오는 것은 당연한 것 같다. 이제서야 자식은 부모의 거울이라는 말이 피부에 절절히 와닿았다.

나는 MBTI 기질 중 I형을 가졌다. 낯가림이 있어서 먼저 쉽게 다가가지 못한다. 많은 사람들과 함께 있는 자리가 참 불편하다. 우리 아이는 그렇지 않을 거라 생각했는데, 왜 친구들과 놀이터에서 만나도 인사하기를 주저하고, 혼자 겉돌까 싶었는데 엄마들과 만난 자리에서 나 혼자 떨어져 있는 모습을 보고 알게 되었다. 내가 못하면서 그동안 아이에게 참 많이도 이야기를 했다는 사실을 말이다.

뿐만 아니라 과잉보호, 부모의 간섭과 통제, 엄격한 훈육 등 책을 읽다 보니 우리 아이가 가지고 있는 소심함이 내 그릇된 양육태도에서부터 비롯되었다는 생각에 정말 가슴이 아팠다. 부모의 통제가 심할수록, 아이는 스스로 할 수 있는 공간을 빼앗기고 시키는 대로 하는 소심하고 수동적인 아이가 될 수 있다니...

책 속에는 각 상황에 맞는 사례가 등장하기에 부모의 모습을 점검해 보기 어렵지 않게 구성되어 있고, 각 장의 말미에 두 문장으로 정리가 되어 있기에 입문서로 읽기에 좋을 것 같다. 아쉬움이 있다면 말투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이나 실제적인 말투의 실례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조금 더 깊이 있는 이야기들이 담겨있었으면 실제로 활용도가 좋았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