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죄인이 기도할 때
고바야시 유카 지음, 민경욱 옮김 / ㈜소미미디어 / 2021년 10월
평점 :
잘나가는 연예인이 갑자기 과거사를 문제로 추락하는 경우를 종졸 볼 수 있다. 성(姓) 적인 부분의 문제가 불거진 경우와 소위 일진으로 학폭을 했던 경우가 상당수다. 대놓고 학폭을 경험하진 않았지만, 왕따를 경험한 적이 있는지라 그로 인한 상처와 스트레스, 고통이 얼마나 큰지는 겪어보지 않았으면 모를 것이다.
죄인이 기도할 때에는 두 개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하나는 과거, 하나는 현재. 공통점이라면 학폭으로 인한 피해자와 가해자가 있다는 것이다. 과거의 사건은 11월 6일의 저주로 불린다. 가자미 시게아키는 중학생인데 자신의 집에서 커터 칼로 목을 그었다. 엄마인 아키에가 발견했다. 특이점은 피로 유서를 썼다는 것이다. 안타까운 점이라면 출혈된 피로 인해 유서 내용이 알아볼 수 없었다는 것이다. 그나마 알아볼 수 있었던 글자는 중(中)과 이(二)라는 글자뿐이었다. 갑작스럽게 아들을 잃은 가자미 게이스케와 아키에는 아들의 죽음이 석연치 않다. 학교 측에 문의를 해도 별다른 답변을 얻을 수 없던 차에, 엄마인 아키에는 아들의 죽음의 원인을 알고 싶어 매일 학교 앞으로 찾아가 시게아키의 반 아이들에게 묻기 시작했다. 그리고 아들이 남긴 유서의 글자가 들어가는 반 아이들을 찾기 시작하는데...
한편, 학폭에 시달리는 도키타 쇼헤이는 11월 6일의 저주를 이용해 자신에게 돈을 뺏고 계속 괴롭히는 가와사키 류지를 죽이고 자신 또한 자살할 계획을 세운다. 그날도 역시 도키타는 류지에게 불려가 일방적인 구타를 당하고 있었다. 차라리 죽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든 도키타는 류지에게 반항을 하고, 류지에게 당하던 찰나 분장을 한 피에로로 변장한 페니의 도움으로 상황을 모면한다. 페니와 이야기를 나누던 중, 도키타는 자신의 이야기와 함께 류지를 죽이고 자신도 죽고 싶다는 이야기를 전한다. 도키타의 이야기를 듣던 페니는 자신이 류지를 죽여주겠다며 살해 계획을 세워오라고 하는데...
두 사건은 하나로 연결된다. 그리고 그 중간에 한 인물이 있다. 가장 소중한 것을 잃었을 때 복수를 감행할 수 있을까? 그리고 그 복수는 과연 정당한가? 사회파 소설이라지만 현실의 사건들과 너무 닮아있다. 책 속에 등장하는 분위기나 아들을 잃고 범인을 찾아 헤매는 엄마의 분노는 너무 실제적이었다. 무엇을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그저 자식의 억울한 죽음의 이유만이라도 알고 싶은 현실에 도움을 줄 사람은 없다. 오히려 냉소만 있을 뿐...
왕따 문화는 일본이 참 심하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우리도 별반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왕따 안에 또 다른 왕따가 등장하고, 그런 분위기에 그저 동조하고 때론 묵인하는 것도 또 다른 가해가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