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체를 보는 식물학자 - 식물의 사계에 새겨진 살인의 마지막 순간
마크 스펜서 지음, 김성훈 옮김 / 더퀘스트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법의 인류학자가 쓴 뼈의 방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다. 법의인류학자라는 직업도 처음 들어봤지만, 사람의 뼈에 죽음에 대한 증거가 남아있다는 사실이 놀랍고 흥미롭기도 했다. 그래서 그런지, 법의 식물학자인 저자가 쓴 이 책 역시 호기심이 생겼다. 요즘은 과학수사가 많이 발전하긴 했지만, 실제로 일반인들이 그런 정보를 접할 기회는 흔치 않은 것 또한 사실이다. 드라마나 영화 등에서 그리는 것은 어느 정도의 허구와 과장이 섞여있다 보니, 실제 그 직종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본인의 직업에 대해 쓰는 책이 훨씬 더 생동감 있게 느껴지기도 하다. 그런 면에서, 식물을 통해 죽음을 알 수 있다는 사실이 꽤나 궁금증을 자아냈다.

사실 저자는 런던 자연사박물관에서 일하는 큐레이터였다. 그런 저자에게 걸려온 한 통의 전화를 시작으로 저자의 삶은 완전히 바뀌게 된다. 사체가 발견되었는데, 식물이 부분적으로 덮여있었다. 혹시 식물들이 얼마나 오래되었는지 확인해 줄 수 있느냐는 전화에 저자는 반응한다. 그리고 그 식물들을 통해 죽음의 원인과 때를 밝혀낸다. 사실 죽음과 사체를 보는 것은 결코 흥미롭거나 재미있지 않다. 법의 식물학자가 밝혀내는 죽음은 타살이나 외인사 등에 속하는 경우가 많기에 사체 또한 온전히 보전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시간이 상당수 지난 경우도 상당하다고 한다. 그렇기에 법의학자들이 그렇겠지만, 법의식물학자 역시 망자의 죽음에 대해 밝혀야 하는 책임감과 의무감을 가지고 일을 하는 것 같다. 물론 지금이야 법의학자 교육에 대한 체계가 예전에 비해 상당히 갖추어져 있지만, 저자가 법의 식물학자로 일하게 되었을 때만 해도 쉽지 않았다고 한다. 함께 일하는 타 분야의 전문가들을 통해서 나 사건을 통해 배우기도 했다고 하니 말이다.

책 속에는 저자가 경험한 사건들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죽음을 밝힐 표본이 되는 식물들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한다. 사람은 유기물이기 때문에, 사체에는 상당한 양분이 담겨있다. 그렇기에 사체를 중심으로 식물들이 자라나거나, 곤충들이 왕성하게 불어나는 경우가 많다. 그런 식물들로는 블랙베리덤불이나 아이비 등이 있다. 문제는 식물들에 의해 사체가 가려지는 경우가 상당하다는 것이다. 저자는 보통 바쁘지 않은 기간에 휴가를 잡는 편인데, 범죄가 증가하지는 않지만 저자가 바빠지는 시기가 있다고 한다. 바로 10월~3월까지인데, 겨울에 유독 발견되는 사체가 많은 이유가 무엇일까? 이 또한 식물에 해답이 있었다. 나무에 이파리가 다 떨어지고 나뭇가지만 남아있어야 시신을 쉽게 알아볼 수 있다고 한다. 인간은 후각보다 시각이 발달된 종이기 때문이다. 또 보통은 개와 산책을 하다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아무래도 후각이 발달한 개의 경우 시신을 훨씬 쉽게 찾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의 이야기를 읽고 보니, 이해가 되기도 한다. 대부분 야외에서 조사가 이루어지기에 추운 겨울에 조사가 많으면 참 어렵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책을 읽으며 법의 식물학자라는 직업에 대해 처음으로 접하게 되었는데, 흥미롭기도 했지만 쉽지 않은 길을 가는 그들의 모습에 존경스러운 마음이 생겼다. 전문적인 능력뿐 아니라 의협심이나 책임감도 필요하겠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또한 망자는 말이 없다고 하지만, '사체를 둘러싼 식물들을 통해 이야기할 수 있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 식물을 통해서 죽음의 이야기를 밝혀낼 수 있어서 다행이라는 생각 또한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