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버지의 죽음 앞에서 - 호스피스 의사가 아버지를 떠나보내며 깨달은 삶의 의미
레이첼 클라크 지음, 박미경 옮김 / 메이븐 / 2021년 10월
평점 :
죽어 감은 곧 살아감과 같다.
여기선 아름답고 달콤 씁쓸하며 부서지기 쉬운 게 인생이라는
삶의 본질을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얼마 전 가슴을 졸였던 기억이 있다. 아버지가 갑자기 어지럼증도 심하고 식은땀에 3주 동안 몸무게가 5킬로가량 빠지셨다. 지인과 통화 중에 뇌출혈 증상 같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 즈음에 주변에서 뇌출혈로 쓰러진 분들 이야기를 많이 들었고, 아버지 가까운 분 역시 뇌출혈로 뇌사상태로 일주일 정도 계시다가 결국은 돌아가신 참인지라 급하게 응급실에 가서 MRI와 CT를 찍었는데 다행히 아무 이상은 없었다.(결국은 코로나 백신 2차 이상 증상이었다.)
그 며칠 간의 일을 겪으며 정말 많은 생각이 지나갔다. 언제나 건강하게 내 곁에 계실 것 같은 아버지의 부재를 잠깐이나마 생각하다 보니 정말 못 했던 것만 생각이 났다. 둘째가 태어난 후, 전보다 더 부모님(특히 아빠)의 손길을 많이 받으며 살고 있다. 갑자기 아이가 아프거나, 뭔가 일이 생기면 늘 찾게 되는 5분 대기조인 아버지.
사실 이번 일을 겪으며, 언젠가는 맞이할 수밖에 없는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타인의 글을 통해서나마 간접경험하고 나 역시 준비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의 저자는 의사인 아버지를 둔, 호스피스 의사 레이첼 클라크의 글이다. 죽음에 관한 글, 호스피스 의료진의 글을 여러 권 봤지만 이 책은 아마 꽤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어린 시절부터 의사인 아버지, 간호사인 어머니의 직업을 곁에서 지켜봤던 레이첼은 기자와 의사의 삶을 두고 고민을 했었다. 그런 그녀 기자를 포기하고 의사가 되기로 결심한 것에는 죽을 뻔한 여러 건의 큰 사고가 있었다. 그녀가 선택해야 할 상황에서 아버지는 그녀에게 의사로 살기를 강요하지 않았다. 그저 레이첼이 옳은 선택을 하도록, 그녀가 질문을 해 올 때만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해 줬을 뿐이다. 다소 늦은 나이에 의학도가 된 레이첼은 문제가 생기거나,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아버지에게 조언을 구한다. 그때마다 아버지는 지혜로운 대답을 건넸다. 평생을 의사로 살아왔던, 따뜻한 마음을 가진 의사였기에 건넬 수 있던 조언이었다.
책의 전반부에는 레이첼이 의사가 되기로 마음을 먹게 된 이야기, 의사가 되고 겪었던 이야기가 담겨있다. 사실 나 역시 병원을 극도로 무서워하는 병원 공포증을 가진 사람이다. 병원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온몸이 피투성이가 된 환자가 실려온 응급실, 갑작스러운 심정지로 CPR을 받는 장면이다. 다분히 드라마나 영화의 영향 때문인지, CPR에 대한 환상이 있었는데, 드라마틱한 소생은 5명 중 1명에 불과하다고 한다.
책의 후반부에는 아버지 이야기와 함께 자신이 호스피스 의사로 살면서 만났던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개인적으로 호스피스에 대한 이미지가 좋지 않다. 사실 환자의 입장에서 호스피스로 이동한다는 것은 죽음을 코앞에 두고 있다는 의미기 때문이다. 호스피스에서 일하며 자신이 만나고 보았던 많은 이야기들을 통해, 그리고 자신 또한 사랑하는 아버지의 죽음을 이야기하지만 그동안 의료진으로 봐왔던 죽음과 가족의 죽음은 다르다. 많은 사람들의 마지막을 위해 일했지만 말이다. 아버지의 죽음을 이야기하기 위해 책을 썼지만, 그 안에는 아버지를 비롯해서 그녀가 만났던 평범한 사람들의 모습이 더 많다. 정말 찰나의 차이로 누군가는 죽고, 누군가는 사는 끔찍한 사고의 현장에서부터 사랑하는 가족을 남겨두고 떠나야 하는 할아버지, 아내를 두고 떠나는 남편, 아직은 죽음을 논하기에 너무 이른 19살 청년에 이르기까지 책 속에는 다양한 모습의 삶과 죽음에 대한 기록이 담겨있다.
책을 읽으며 의사라는 직업과 환자를 대하는 태도, 죽음에 대한 이야기 등 참 와닿는 부분들이 많았다. 가슴 아픈 사연과 이야기가 가득하지만 그래서 더더욱 이해가 되는 삶의 이야기가 가득한 책을 통해 저자의 말대로 죽음이라는 또 다른 삶을, 살아감을 준비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