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쓴 것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2년생 김지영의 작가 조남주. 개인적으로 상당한 충격과 인식의 변화를 줬던 작가였다. 82년생 김지영과 사하 맨션, 귤의 맛 그리고 이 책에 담겨있는 현남오빠에게까지 그녀의 책은 찾아서 읽게 되었다. 그리고 단편소설 8편이 한 권으로 묶인 소설집을 만나게 되었다.

8편의 소설 중 현남 오빠에게는 이미 만난 적이 있다. 현남 오빠에게는 전 남자친구에게 날리는 한방이라고 할까? 책을 있는지 몇 년이 지났음에도 마지막 한방은 큰 여운으로 남았다. 물론 현남 오빠와 결혼하지 않은 그녀의 선택에 나 또한 박수를 보냈던 기억이 재독하며 다시금 더 깊게 떠올랐다.

짧은 소설들이지만 각 소설마다 담고 있는 주제가 다르다. 82년생 김지영이 소외받은 딸들의 감정을 대변했다고 한다면, 이 책의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각계각층의 소외받은, 상처받은 인물들이다.

8편 중 가장 기억에 남는 한편은 매화나무 아래라는 작품이었다. 치매노인인 언니의 병문안을 간 동주 할머니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금주, 은주, 그리고 말녀. 동주가 아닌 말녀인 이유는 아들을 낳기 위해서였다. 이름이 촌스러워서 평생 속이 상했던 말녀 할머니는 남편을 보내고 개명신청을 해 동주로 이름을 바꾼다. 물론 말녀는 두 명의 남동생을 봤다. 남아선호사상이 있던 당시 딸이 많은 집에서는 아들을 보기 위해 미신처럼 막내딸의 이름을 말녀나 끝순이, 말순이 등으로 지어줬다고 한다. 이름은 평생 불리는 것인데, 좋은 뜻을 담은 이름보다는 단지 아들 동생을 보기 위한 이유로 지어졌다는 것이 씁쓸했다. 사실 성별은 이름이 가지고 오는 게 아니고 지극히 하늘의 뜻(?) 아닌가? 치매에 걸린 금주 할머니는 그래도 동생을 늘 동주라고 불러줬다. 기억을 잃어도 동생의 이름의 한을 기억이나 하듯이 말이다. 점점 쇠약해지는 할머니를 찾아오는 자식들의 발길이 갈수록 뜸하지만, 손주인 승훈이만은 직장에 반차를 내고 할머니를 찾아올 정도로 정성이다. 동주 할머니는 그런 승훈이 고맙고, 한편 그런 손주가 있는 언니가 부럽기도 하다. 그러던 어느 날, 동주 할머니가 사 온 복숭아 통조림을 먹다 구토를 하는 금주 할머니는 결국 중환자실에 입원을 한다. 어떤 치료도 생을 잠깐 연장하는 연명 정도지, 진짜 치료는 아님에도 치료를 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생기는데...

 

 소설 속 등장인물들의 삶의 궤적을 따라 걸으며, 등장인물들의 감정선에 손을 짚으며 읽다 보면 경험해보지 못한 감정들임에도 또 다른 이해와 공감에 가닿았다. 짧지만 그래서 조금은 아쉽지만 그럼에도 짧은 지면에 그 감정을 오롯이 담아내기에 충분하다는 생각 또한 들었다.

겪어보지 않으면 공감하기 어려운 이야기들 속에서 이미 경험한 이야기, 훗날 알게 될 이야기, 경험할 수 없을 이야기들을 차곡차곡 쌓다 보면 마지막 장에 다다른다. 사람은 모두 다르지만, 때론 같은 감정을 느끼고 알 수 있다는 사실 또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