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0년, 열하로 간 정조의 사신들 - 대청 외교와 『열하일기』에 얽힌 숨겨진 이야기 서가명강 시리즈 16
구범진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가 명강 16번째 책은 역사 그중에서도 우리와 중국사가 맞물린 동양사학이다. 개인적으로 역사에 관심도 많고 흥미를 느끼는 터라 상당히 궁금한 책이었는데, 1780년이라는 시대와 열하 그리고 정조라는 세 가지 포커스가 궁금증을 강하게 자아냈다. 저자의 말대로 열하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단연 박지원의 열하일기 일 것이다. 학창 시절 배운 한 줄 외에는 열하일기에 대해 아는 바가 없는 터라 1780년을 키워드로 잡은 저자의 의도가 심히 궁금했다.

우선 열하가 무엇일까? 열하일기 속 열하는 중국의 지역이었다. 이름만 알았지 실제 무엇을 의미하는지 몰랐는데, 열하가 중국 허베이성 동북부에 위치한 청더(승덕)의 옛 지명으로 청황제들의 여름궁전인 피서산장이 있던 곳이라고 한다. 그렇기에 베이징에 버금가는 두 번째 수도로 상당한 위치에 있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열하일기는 박지원이 청나라 건륭제의 칠순잔치에 정조의 명으로 특별히 파견된 진하 특사와 연암 박지원이 동행하면서 보고 겪을 일을 쓴 기행문이자 연행록(중국 여행기)라고 할 수 있다.

기본적인 사실을 알고 보니 점점 궁금증이 더해졌다. 그렇담 진하 특사는 뭐고, 왜 정조는 건륭제의 칠순잔치에 특별히 사신을 파견한 것일까? 사실 그동안 서가 명강 시리즈를 읽으며 만족스러웠던 것 중 하나가 이 책을 읽는 독자층을 전공자가 아닌 일반인으로 두고 서술되었기에 사전 지식에 대한 꼼꼼한 설명이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의 저자인 구범진교수 역시 당시 우리의 시대상이나 분위기부터 시작해서 알면 이해가 빠른 밑지식에 상당부문 페이지를 할애하고 있다. 특사에 대해 알기 전에, 조선과 청의 관계부터 언급하는 것을 보면 말이다.

오늘날 적잖은 사람들이 당시의 조선이 시대 변화에 어두웠다고들 비판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청의 중국 정복이라는 역사의 최종 결말을 알고 있기에 가능한 결과론적 해석 일뿐이다.

고려 시대부터 우리는 중국에 대한 사대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청에 대한 사대는 차원이 다른 문제였다. 바로 소위 오랑캐로 얕보고 있던 청에 의해 국토가 유린되고 조선의 왕인 인조가 조선 땅에서 오랑캐의 우두머리 홍타이지 앞에서 오랑캐의 방식으로 절을 하면서(삼궤구고두례) 오랑캐의 신하임을 인정했기 때문이다. 근본이 없다고 무시했던 오랑캐의 나라, 큰 나라로 섬겼던 명나라를 무너뜨린 나라, 그럼에도 병자호란 이후 청을 위해 싸울 수밖에 없었던 조선인지라 이런저런 치욕과 원한, 원망이 한껏 쌓여서 청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았다. 이런 분위기는 대를 이어갔고 영조 대에 이르러서는 오랑캐의 나라는 100년 안에 무너질 것이라는 생각이 팽배해 있었다. 하지만 영조의 다음 대 왕인 정조는 이런 시대 상에서 무슨 생각으로 자진해서 사신을 보낸 것일까?

사실 생일의 당사자인 청의 건륭은 칠순을 그리 크게 기념하고 축하하려는 생각이 없었다. 오히려 신하들이 성화였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건륭의 칠순에 특사를 파견한 나라 역시 조선이 유일하다. 특이점 중 하나는 베이징이 아닌 열하의 피서산장에서 만수절(생일)을 보냈다는 것이다. 만수절을 보낸 이후는 가을 사냥이 늘 계획되어 있었고 실행되었다. 당사자도 크게 챙길 생각이 없던 칠순에 정조는 사신을 보낸다. 그것도 보통의 사신보다 업그레이드된 특사를 말이다. 이에는 정조에 외교정책도 한몫을 했다. 정조가 진하 특사로 보낸 인물은 박명원인데, 박명원은 정조의 고모부(화평 옹주의 남편)였던 인물이다. 그리고 그의 팔촌이 바로 연암 박지원이다. 박지원은 박명원의 진하 특사에 동행하여 겪었던 일을 열하일기라는 형식으로 기록한다. 물론 진하 특사는 박명원이었기에 박지원이 경험할 수 있던 중국은 완전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그의 기록은 시대를 연구하는 데 큰 자료가 된다.

개인적으로 책을 읽으며 흥미로웠던 부분이 4장에 기록된 봉불지사에 대한 이야기다. 조선은 예로부터 숭유억불 정책으로 유교를 숭상해고 불교를 천시했다. 문제는 판첸을 만나고 그로부터 불상을 받아서 조선으로 가지고 왔다는 것이다. 성리학을 중시했던 성균관 유생들은 불상을 가져왔다(봉불)는 이유로 박명원 일행을 향해 비난과 비판에 중심에 서게 된다. 그랬기에 박지원은 자신의 책을 통해 박명원과 봉불지사에 대한 변호를 펼친다. 지금이나 당시나 주된 이념에 대한 반의(실제는 아니었지만)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이런 면에서 또 인간사는 비슷하다는 생각 또한 들었다.

이번에도 서가 명강을 통해 생각지 못했던 주제를 경험하고 지식을 쌓는 시간이 된 것 같다. 시간을 내서 실제 열하일기를 읽어보고 싶다. 이 책의 배경지식을 이미 가졌기에 한결 재미있고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