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온한 것들의 미학 - 포르노그래피에서 공포 영화까지, 예술 바깥에서의 도발적 사유 서가명강 시리즈 13
이해완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제목을 보고 고개를 갸우뚱했다. 왠지 불온과 미학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짝 같았기 때문이다. 마치 반어법의 느낌이 가득했다고 할까? 근데 책을 열어보니 책 속의 담긴 주제에 딱 어울리는 제목이 이것만 한 것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색안경을 쓰고 보게 되는 위작, 포르노그래피, 나쁜 농담, 공포영화... 왠지 모르게 미학과 어울리지 않는 소위 B급이라 느껴지는 분야들이다. 왜 어울리지 않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물어보자면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지만 왠지 그래야 할 것 같은 느낌적 느낌이라고 할까?;;;

저자는 그런 우리의 느낌에 대해 좀 더 논리적이고, 실체적인 이유를 통해 미학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준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미학이 추가하고 있는 각자의 개념에 대한 제대로 된 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일부만의 생각이 아닌, 평균적인 의미의 개념을 찾아야 한다. 개인의 감상이 아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생각과 논리 말이다.

사실 개념과 실체 그리고 논란을 불식시킬만한 철학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 마치 꼬리의 꼬리를 잡는 질문에 대해 하나하나 해결해야 하나의 개념이 잡히듯이 말이다. 덕분에 4가지의 키워드는 실제적인 이야기였지만, 각 분야들이 미학의 범주 안에서 이야기하고, 그것을 풀어가는 여정은 생각보다 쉽지 않았던 것 같다.

개인적으로 몇 년 전 우리나라에서도 논란이 되었던 천경자 화백의 그림에 대한 이야기 때문인지, 위작에 대한 이야기가 가장 기억에 남았다. 천경자 화백뿐 아니라 진주 귀걸이로 유명한 페르메이르의 작품 엠마오 집에서의 저녁식사를 위조한 판 메이헤런의 작품에 대한 이야기가 주된 포커스였다. 상당한 전문가들은 실제 작품과 위작을 구별하지 못했다. 버젓하게 페르메이르의 작품으로 소개되기도 했으니 말이다. 물론 그들을 속이기 위해 판 메이헤런 또한 엄청난 공을 들이기도 했다. 결국 판 메이헤런의 작품은 페르메이르의 위작이라는 판결이 나온다.

문제는 위작과 원작을 구분해내지 못한 작품을 두고 과연 미적가치를 논하는 게 맞는가 하는 문제이다. 우리의 생각 속에 위작과 원작의 차이는 조잡하거나, 예술적 가치가 떨어진다는 생각이 있다. 하지만 판 메이헤런의 위작처럼 전문가조차 구별하지 못하는 작품이라면 어떨까? 과연 가치가 떨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을까?

물론 미학을 이야기할 때는 예술적 가치뿐 아니라 윤리적, 예술사적 이유도 판단 기준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예술적 가치만을 놓고 보자면 위작이 가치가 떨어진다고 느끼는 것은 투자와 돈이 연관된 것은 아닐까?

쉽지 않은 논리들 하나하나 풀어가지만 나 또한 그 논리 앞에서 고개를 끄덕이기 쉽지 않은 이야기들도 담겨있었다. 왠지 뿌연 안갯속을 걷는 기분이라고나 할까? 사실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이유를 들이밀긴 했지만 "미"라는 개념은 논리적으로만 풀어가기에는 부족함이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감정과 쾌락 등의 감성적 측면이 다분히 담겨있기 때문이다.

미와 예술의 철학인 미학은 또한 감성의 철학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것은 비합리적인 것을 최대한 합리적으로 생각해보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어쩌면 미학의 분야에서 다분히 버려두었던, 분야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던 좋은 계기가 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