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키우는 입장이다 보니, 상황 객관화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뼈저리게 느낄 때가 있다. 내 눈에는 마냥 떼를 쓰고 억지 주장을 하는 것 같이 보이지만, 일이 벌어진 상황을 객관화했을 때 놓쳤던 것을 보게 되고 아이의 행동이 이해가 되고 때론 아이의 행동이 정당했다는 사실까지 발견하게 된다. 요즘 방송되는 육아 솔루션 프로그램에도 그런 내용들이 자주 등장한다. 로보 베이비 역시 누구의 편도 아닌 상황의 객관화를 보여준다. 가장
적절하고 명쾌한 설명서 보다 자신의 과거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어른들. 캐시의 의견에 정당함이 있지만 그저 묵살하는 분위기 속에서 로보
베이비는 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나이와 상관없이 누구에게도 배울 것이 있다는 사실을 로보 베이비를 통해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내 아이의
말과 행동이 그저 어리고 미숙한 아이의 것이라고 치부하기 전에 아이의 말과 행동이 무엇을 뜻하는지 다시금 바라봐야겠다는 생각 또한 하게
되었다.
그리고 마지막 기가 막힌 반전은 마지막까지 책을 재미있게 읽은 독자들을 위한 로봇 가족의 선물이 아닐까?
디지털과 AI 시대의 이야기지만 왠지 모를 아날로그적 감정이 숨어있는 건 단지 기분 탓은 아닐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