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과 증언 - 소설로 읽는 분단의 역사 더 생각 인문학 시리즈 10
이병수 외 지음, 통일인문학연구단 기획 / 씽크스마트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로 남은 우리 민족은 긴 역사만큼이나 많은 경험과 기억들을 가지고 있다. 물론 그 안에는 성장을 위한 아픔도 있겠지만, 굳이 경험하지 않았어도 되는 아픔도 상당하다.

특히 우리의 근. 현대사를 보자면 생각보다 많은 숫자들을 만날 수 있다.

3.1, 6.10, 4.3, 6.25, 4.19, 5.18, 12.12.....

이 책을 접하며 나의 학창시절 한국사 시간을 생각해보았다. 당시 고3에 닥쳐 한국사를 몰아서 배웠기에 시험을 위해 외웠던 숫자들 속에서 그 숫자 속에 얽힌 실제 이야기를 이해하기 보다 당장의 순서나 키포인트만을 잡아서 생각했던 기억이 난다. 덕분에 왜 이 숫자 속 날짜에 '그들은 그런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나'를 생각할 겨를이 없었던 것 같다. 그나마 조금씩 이슈화되는 날짜는 후에라도 어렴풋하게 알아가지만, 정말 이름만 알고 있는 사건들(여순사건, 제주 4.3사건 등)은 내가 찾아보지 않으면 기억에서 사라져 버리게 되는 것이었다.

사실 기억과 증언이라는 조금은 무거워 보이는 책을 읽게 된 계기는 우리의 근. 현대사를 다룬 "소설집"이라는 착각 때문이었다. 우리의 역사를 다룬 작품들을 좋아하는 편인지라(태백산맥과 같은), 그런 책 들 중 하나라는 내 생각과 달리 역사 소설들을 통해 실제 이야기를 만날 수 있는(실제 역사를 설명해 주는) 해설집 같은 느낌이라고 할까?

내가 과거 읽었던 태백산맥(빨치산, 여순사건)을 비롯하여 순이삼촌(제주 4.3. 사건)이나 곡두 운동회(6.25전쟁), 아우와의 만남(1983년 이산가족) 등 우리 역사의 굵직한 사건들을 다룬 소설들을 통해 실제 우리의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털어놓는다.

책을 읽으며 가장 먼저 들었던 생각은 '이 사건이 이런 이야기였어?'였다. 이름만 알았지 왜 그런 일이 벌어진 것인지, 그 일을 통해 어떤 일이 발생하게 되었는지 아무런 지식이 없던지라 읽으면서 무척 놀라웠다. 또한 나도 모르게 진실보다는 누군가의 의도에 의해 왜곡된 지식들을 가지고 있기도 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기도 했다.

가령, 우리 사회에서 "빨갱이" 혹은 "종북"에 대한 상당히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다. 하지만 실제 빨치산의 이미지는 우리가 알고 있는 이미지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역시 나처럼 처음의 이미지가 시대를 거치고, 이념이 합쳐지면서 더 적대적이고 부정적인 이미지화되었다는 사실 또한 알게 되었다.

여순사건이나 제주 4.3 사건 또한 그랬다. 내가 학교 다니던 시절에는 여순 "반란" 사건으로 불렸던 사건의 시작은 제주도민들을 토벌하라는 군부의 명령을 거부하고 봉기한 좌익계열 군인들에 의해서라는 사실이었다. 또한 제주 4.3 사건의 시작은 기마경찰의 말에 의해 아이가 치이는 일이 일어나고, 이에 대해 사과를 요구한 도민들에게 발포를 한 경찰의 잘못에서부터 였다는 사실이다. 만약, 그 모든 사건에서 자신의 이익이 아니라(기마경찰의 진심 어린 사과가 있었다면, 동포들을 토벌하라는 명령을 내리지 않았다면), 민족을 생각하고 국민들을 생각하는 결정을 내렸다면 이럼 끔찍한 사건이 벌어질 필요가 있었을까?

소설 속 이야기들의 실제 모습을 바라보며 여러 생각이 들었다.

사실 지금 우리 사회는 이념의 대립이 극도로 치닫고 있다. 세대 간 갈등도 갈등을 넘어 혐오 지경까지 이르고 있다. 남의 이익보다는 내 이익이 우선이고, 내가 피해 보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상대의 희생을 요구하기도 한다. 근데 우리의 과거 이야기 속에서 내가 본 것은 타인의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나의 시간을 더하고, 힘을 더하고, 내 희생을 같이하는 장면들이었다. 놀라웠다. 배운 것도, 가진 것도 없는 그 시절의 사람들은 때론 역사의 심판으로 폭도가 되고, 왜곡되고 부정적인 일을 저지른 사람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그들을 기억해 주는 사람들이 아직 남아있다는 사실 말이다. 덕분에 역사를, 진실을 다시금 알아갈 기회가 된 것 같다.

여전히 현대사는 진행 중이다. 후에 다음 세대가 우리의 모습을 보고 어떤 판단을 내릴까? 책을 읽는 내내 궁금해졌다.

그렇기에 분단의 역사는 영토의 분단에서 국가의 분단, 민족의 분단,

그리고 남남갈등으로 확신되는 과정으로서 '분단시대의 역사'로 바라봐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