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있다면 집집마다
공룡 박사 한 명씩을 키워봤을 것이다.
실제 모습이
사랑스럽기보다는, 무섭고 때론 징그러워 보이는 공룡임에도 큰 사랑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살아생전(?) 엄청난
크기와 압도적인 몸무게를 자랑하는 공룡이었음에도 말이다.
사실 이렇게 이야기하는
나조차, 덕후까지는 못 가더라도 꽤 오랜 세월 공룡 사랑 덕분에 집에 상당수 공룡 책과 공룡 모형 피규어를 간직하고 있다.(당근 쥬라기공원
시리즈는 수십 번 보고, 책도 소장 중이다.)
사실 나조차 공룡의
생김새가 사랑스럽지 않다는 것은 인정한다. 하지만 지금은 만날 수 없는... 그래서 더 애틋할 수밖에 없는 거 아닐까?
책의 저자이자
고생물학자인 30대의 젊은 학자 스티브 브루사테와 함께 떠난 공룡찾기는 그동안 영화 속에서나 볼 수 있던 짧은 지식을 넘어선 방대한 공룡이야기가
담겨있다.
공룡이 멸종된
이유는?
사실 누구나 상식선에서
알고 있는 그 이유(엄청난 기후변화)를 좀 더 다각적으로 파헤칠 수 있었다.
공룡이 등장하기 전
이미 지구는 그 전에 살았던 생명체가 몰살될 정도로 극도로 취약한 환경이었다.
그렇게 큰 환경적
변화를 거친 후 습지를 중심으로 생명체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우리가 공룡하면
떠오르는 그런 공룡은 애초에 없었다.
그저 쥐 만한, 개구리
만한 작은 양서류들이 등장했을 뿐이다. 공룡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대멸종이 지구를 싹쓸이 한 후 출발한, 수 많은 신종 식물과 동물도
마찬가지였다...
요컨대, 그들(공룡)은 작고 온순한 도물로, 초기에 먹이사슬의 최정상 근처에는 얼씬할
수도 없는 존재였다.
그들은 중소 규모의 다른 파충류, 초기 포유류, 먹이사슬의 중간에 위치한 양서류와
어울리며,
권좌를 차지하고 있는 악어계 조룡을 두려워하고 있었다. 공룡에게 주어진 것은 아무것도
없었으므로,
그들은 모든 것을 스스로 획득해야 할 처지였다.
그렇다면 이렇게 작았던
공룡이 어떻게 우리가 소위 아는 큰 공룡으로 자랄 수 있었고, 천적으로부터 피해 다니기 급급했던 공룡이 한 세대를 아우르는 최고의 포식자의
위치에 오를 수 있었을까?
물론 공룡이 거대하게
성장하기 위한 조건은 하나 만이 아닐 것이다.
또한 현재의 우리의
지구 상황을 대입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과학자들은 여러 결과를
통해 가장 우위를 나타냈던 용각류 공룡 군이 그들만의 독특한 체제를 구축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환경적 적응(높이 있는 나뭇잎을 먹기
위해서처럼), 양서류나 파충류가 지닌 높은 대사율과 성장률, 숨쉬기 매우 효율적인 폐 등과 같이 여러 개의 조건이 시너지를 발휘했다는
것이다.
또한 그들은 다양성을
추구해서 자신만의 강점을 최대로 진화에 사용하였다. 덕분에 새로운 필요를 위한 진화의 과정이 계속됨에 따라 다른 형태의 공룡으로 성정할 수
있었다.
이 책의 저자는 자신이
그동안 연구하고, 눈으로 직접 보고, 만난 사람들과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논지를 이끌어간다. 그래서 그런지 다른 공룡을 다룬 책보다 더
사실적이고, 근거가 있는 지극히 과학적인 이야기를 만날 수 있었던 것 같다.
눈으로 본 적 없는
생명체를 단지, 화석을 통해 연구하는 것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공룡에 미치지 않고서는 더욱이 힘들 것이다. 저자의 그런 공룡 사랑
덕분에 우리는 자리에 앉아서 쉽게 책으로 공룡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었던 것 같다. 아직 30대이니, 10년 후. 20년 후에는 또 얼마나
공룡에 대한 연구 자료와 그동안 만나지 못한 공룡들을 만날 수 있을까? 앞으로의 연구 또한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