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을 보고 내용이 많이 궁금했다. 특히 저자가 이어령 박사였기 때문에, 어떤 이야기가 담겨있을지 더 기대되기도 했다. 말 그대로 이 책은 우리 문화 속 탄생에 관련된 이야기 그리고 꼬부랑 할머니 이야기가 담겨있다.
나 역시 아이를 임신했을 때, 태명을 지었다.
임신과 함께 와닿았던 이름이 있었기에, 고민 없이 태명으로 지었고 아이가 태어나서 이름을 갖은 후에도 한동안 태명으로 아이를 부르기도 했다. 내 주위에는 태명이 이름이 된 경우도 있고, 조리원에서 만난 동기들 역시 지금은 이름이 익숙하지만 한동안은 태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저자는 태명부터 배내고개, 출산 고개, 삼신 고개, 기저귀 고개 등 임신부터 출산 그리고 아이의 성장에 관한 이야기까지 한국인의 관점에서 출생에 대한 이야기를 내어놓는다.
딱딱하지 않고, 마치 만나서 이야기하듯이, 전래 동화 듣는 듯한 형태로 이야기를 짧게 짧게 하고 이따 보니 읽는 내내 또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
책을 읽으며 태명이라는 문화가 우리나라만의 고유(?) 한 문화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하긴 엄마한테 물어보니, 내가 어렸을 때만 해도 태명을 짓는 분위기가 없었는데 부모님은 내 이름을 따로 지어놓고 그 이름으로 불렀다고 한다. 그리고 그 이름과 현재 내 이름은 다르기에...ㅎㅎㅎ 그 이름이 진짜 태명(혹은 아명)이 되긴 했지만... ㅋ)
아마 우리나라만의 나 이 문화(태어나면서 1살로 계산)가 태명에도 영향을 미친 것 아닌가 하는 저자의 이야기는 여러 가지 증거(?) 자료 속에서 더 와닿고 이해가 가기도 했다.
개인적으로 싫어하는 미역국을 한 달 내내 먹으면서, 왜 미역국을 먹어야 하는지(단지 피가 맑아진다는 이유만 가지고는 이해가 도지 않았다.) 나름 궁금했는데 그게 또 고려 시대부터 이어진 문화라고 하니 놀라울 따름이었다.
고려 사람들은 고래가 새끼를 낳은 뒤 미역을 뜯어 먹어 산후의 상처를 낫게 하는 것을 보고
산모에게 미역을 먹인다.....
어떤 사람이 물에 들어갔다가 이제 막 새끼를 낳은 고래에게 먹혔다. 고래의 배 속을 보니 미역이 가득 붙어 있었고 장부의 악혈이 모두 물이 되어 있었다. 고래 배 속에서 겨우 빠져나온 그는 미역이 산후조리에 좋다는 점을 알았다.
그 밖에도 귀빠진 날의 의미, 삼신할머니 이야기, 천 기저귀에 얽힌 이야기 등 내용을 모르지만 들었거나 경험한 적이 있던 이야기들이 잘 정리되어 있었다.
이처럼 이 책에는 각 장마다 번호가 붙어있는 꼬부랑길 이야기들을 통해 한국인의 탄생 문화들을 만날 수 있다.
저자가 이야기를 열어가는 꼬부랑 할머니 이야기는 마지막 장 꼬부랑 고개로 이어져서 또 다른 재미와 이해를 자아냈던 것 같다.
각 주제별로 이어가는 내용들 또한 꼬부랑한 옛이야기부터, 한국인만이 공감할 수 있는 우리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더 와닿았던 것 같지만 말이다.
탄생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는 걸로 보아, 앞으로도 한국인 시리즈가 계속 등장하면 좋겠다.
물론 우리만 공감하고, 느낄 수 있는 이야기들이 가득 채워져서 말이다.
아마 아이를 낳은 엄마라서 더 공감되는 이야기들이 많았던 것 같다.
(저자가 여자였다면 아마 출산 고개의 내용들이 더 방대해졌을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