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명왕성에 관한 그림책을 아이와 읽은 적이 있다. 당시도 행성과 항성 같은 용어가 등장했었다.
스스로 빛을 내는 여부로 행성과 항성을 구분했었는데 윤성철 교수의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를 읽으며, 별에 대해 좀 더 깊이 있는 이야기를 배울 수 있었다.
흔히 사랑은 변하지 않는, 불변의 존재여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저자는 이야기한다. 세상에 변하지 않는다는 것은 운동하지 않는 것이라고...
그런 면에서 우리 눈에 보이는 별들은 변한다. 너무 멀어서 우리의 눈으로 확인이 되지 않아서 그렇지(망원경 등이 필요하다.), 별은 꾸준히 움직이고 운동하고 인간과 같은 삶의 변화를 겪는다.
저자는 과거의 우주관부터 시작해서, 여전히 뜨거운 감자인 외계행성과 생명들에 이르기까지 우주하면 떠오르는 천문학적 궁금증에 대해 차분하게 설명해간다.
과거 천문학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플라톤의 우주관을 통해 왜 고대에는 천동설을 맞는다고 여길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과거의 이론에 갇혀있기도 하고 종교적 이유도 있겠지만, 시차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해서가 그 이유 중 하나라는 것은 참 신기했다.)
코페르니쿠스가 지동설을 고려한 이유는 지동설이 당시 관찰된 우주의 현상을
더 잘 설명했기 때문이라기보다는, 단순한 원리로 우주를 설명하고자 하는
고대의 이상에 지동설이 더 부합해 보였기 때문이었다.
천문학 관련 책은 뭔가 복잡하고 어렵다는 생각이 강했다. 물론 쉽지 않은 것은 맞다.
하지만 그동안 이유 없이 암기했던 과거의 천문학적 이야기들의 실제적 근거나 이유들을 알게 되어서 한편으로는 이해가 되기도 했다. 늘 이름만 듣고 있던 빅뱅 우주론을 비롯해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 또한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는 제목과 관련이 있는 이야기는 3장에 등장한다. 인간이 어떻게 별에게서 나올 수 있을까? 궁금했는데 우리 몸을 구성하는 물질이 별을 구성하는 물질과 같다는 이야기였다. 이 관점에서 이해하니 별의 생성과 소멸이 인간을 비롯한 생명체의 생성과 소멸과 닮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알게 되었다고 놔 할까?
138억 년 전부터(물론 과학은 계속 발전하고, 연구되기에 어쩌면 미래에 이 수치가 바뀔 수 있겠지만) 지금까지 무한한 우주의 한 곳의 우리가 있다. 그리고 우리의 또 다른 모습의 우주가 있다. 이 모든 것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은가? 서가 명강을 통해 또 한편의 지식이 성장한 기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