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음식 하면 떠오르는 것은 카레다.
어린 시절부터 큼지막한 감자와 양파 당근을 넣고 쌀밥 위에 큼직하게 부어서 먹는 카레를 좋아했다.
요즘도 메뉴를 걱정하다가 카레를 해 먹는 경우가 종종 있다. 다른 반찬 없이,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기 때문이다.
카레라이스라는 메뉴는 인도보다는 일본식에 가깝다. 우리나라의 경우 좀 더 밝은 색상에 분말 카레 가루를 이용해 만들지만, 일본에서는 더 진하고 노란색보다는 황토색이나 갈색에 가까운 고형 카레를 자주 볼 수 있다.
일본식 카레의 경우 우리와 맛의 차이가 크지는 않지만, 좀 더 걸쭉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인도 음식점에서 식사를 하면서 인도커리와 난을 처음 접했다.
내가 생각했던 카레와는 상당히 달랐다. 밥에 비벼 먹는 식이라 묽은 우리와 달리, 빵 같은 난에 찍어 먹거나 싸먹는 형태인지라 상당히 걸쭉하고 색상이나 향도 많이 달랐다.
이 책을 읽으며 카레에 대한 문화충격이 더 크기도 했지만, 그만큼 재미있기도 했다.
카레 정확히 말하면 인도의 커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꽤 많은 차이가 있었다.
우선 인도의 커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강황만으로 만든 음식이 아니라는 것이다.
스파이시라고 이야기하는 매운맛이 강한 20가지가량의 재료를 섞어서 만들며, 개인의 취향에 따라 들어가는 재료는 천차만별이라고 한다.
인도의 경우 가정마다 돌절구가 필수품이었다고 한다.
바로 돌절구에 스파이시 재료들을 빻고 섞어서 커리를 만들어 먹기 때문이다.
물론 현대화되면서 전자 돌절구 혹은 그냥 재료를 사다 먹거나, 편의점처럼 반조리식품을 팔기도 하지만 말이다.
또한 지역에 따라 커리의 농도에도 차이가 있다고 한다.
인도는 다양성을 지닌 문화권이며 동시에 하나의 통일성을 지닌 지역이다.
통일성이 다양성을 배제하고 무언가 단일한 것으로 통일하지 않고 다양성을 허용하는 형태로 통일했다는 점이다.
이 책에 담겨있는 이 한 줄이 인도를 가장 잘 표현하고, 인도의 대표 음식인 커리를 잘 표현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커리도 수십 가지의 재료가 어울리고, 먹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집안의 분위기에 따라 다른 커리를 만날 수 있다. 바로 인도의 그런 문화적. 사회적 배경이 그들의 음식 커리에 고스란히 담겨있는 것을 아닐까?
카레라는 음식을 통해 인도를 만날 수 있어서 색다른 경험이었다.
또한 저자의 글과 사진 그리고 특별한 레시피들을 만날 수 있어서 또 다른 재미가 있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