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버 트위스트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29
찰스 디킨스 지음, 유수아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리버 트위스트는 작품 속 주인공의 이름이다. 등장인물이자 주인공인 올리버 트위스트의 탄생부터 성장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사실 벽돌 책인데다가, 저자인 찰스 디킨스가 이 책을 쓴 때가 지금으로부터 약 200년 전이기에 어렵기만 한 책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한 장 한 장 읽어갈수록 내 이런 생각은 단번에 깨졌다.

해학적이고 적나라하고 슬프기도 하고 여러 가지 감정이 책장을 넘길 때마다 일어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했다.

물론 현재의 상황에서 책을 바라보면 어처구니가 없기도 하다.

아직도 이런 상황 속에서 자라는 아이가 있을까 싶을 정도니 말이다.

올리버는 태어날 때부터 흙수저에도 미치지 못하는 아이같이 보인다. 아이를 낳자마자 엄마는 죽어버렸고, 아빠는 누군지도 몰랐다. 올리버 또한 숨을 어떻게 쉬는 건지 몰라서 고생스러웠지만, 살기로 결심하고 3분 15초 동안 사내아이답게 울어댄다. 하지만 고아인 올리버에게 세상은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다.

구빈원에 맡겨진 올리버에게 나오는 돈이 있지만(그 돈이면 배가 터지게 먹을 수 있다지만), 맨 부인은 아이들 앞으로 나오는 돈을 가로채고 아이들에게는 최소의 음식만을 제공한다. 9살이 되어 구빈원을 떠나 교구로 오게 된 다음에도 그리 달라지지 않은 상황 속에서 한 그릇(숟가락보다 좀 더 큰?) 귀리죽으로 연명하던 올리버는 고아들을 대표해서 죽 한 그릇을 더 달라고 이야기했다가 쫓겨날 지경(작가는 사형선고라고 했는데... 이 또한 과장에 따른 해학이다.)에 처한다. 굴뚝청소부에게 팔려갈 뻔했다가, 장의사에게 넘겨지고... 그곳에서 또한 어려움을 겪다가 탈출하고... 하류층의 삶을 종류별로 경험하는 지경을 볼 때면 답답하기 그지없으나(세상에는 참 나쁜 놈들이 많단 말이지... 200년 전이나 지금이나 말이다.) 그 와중에 우리의 올리버는 그런 더러운 물에 휩쓸리지 않는 인물인지라 그나마 다행이다 싶다. 물론 올리버의 변화(장소 및 성장 등)에 초점을 맞추어 이동하지만 결코 주인공이 올리버라고 하기에는 뭔가 한계가 있다. 올리버의 의지라기보다는 주변인들의 의지에 의해 끌려다니는 느낌이 들 때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중에 이 작품의 특색이라 할 수 있는 올리버가 처한 상황을 교묘하게 이용하면서 어떻게든 악역을 맞기 위해 혈안이 된 인물들이 상당하다. 걔 중에는 착한 인물들도 있긴 하지만, 왜 눈은 악역에만 가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고아 소년 올리버와 그의 성장에 작고 큰 영향을 미친 인물들을 살펴보다 보면 왠지 모를 특정인들에 대한 편견이 보인다. 가령 유대인 노인이라든가, 매춘녀라든가 하는 인물들의 행태나 결말처럼 말이다.

또한 올리버의 탄생 부분을 읽다 보면 계급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한다. 읽을 때는 몰랐는데, 책을 읽어가면서 올리버가 고아로 어려움을 겪으며 자라나긴 했지만 태생은 좋은 집안 아이였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그렇다면 올리버가 그런 주변의 방해와 어려움에도 물들지 않은 이유가 좋은(?) 핏줄을 타고났기 때문이라는 결론이 나는 건가?

재미있지만, 뭔가 벽에 부딪치는 생각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었다.

각 장의 이야기들은 짧지만 올리버의 성장에 따라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니 상당한 불량인 것도 사실이다.

(가독성도 좋고, 해학이나 풍자성도 탁월하다. 원천적인 태생의 한계나 일반화의 오류로 보이는 몇몇 인물들의 작의적 표현들이 아쉽긴 하지만 말이다.)

상당히 유명한 작품인데, 이제야 처음 접했다는 것이 아쉽긴 하지만 나이가 들어서 접했기에 그때 보지 못했던 것을 볼 수 있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 또한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