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치의 결정적 순간들 - 독재부터 촛불까지, 대한민국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서가명강 시리즈 8
강원택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사는 어렵다. 학창시절 국사 시간에 암기식으로 외우고 넘어가서 아무 기억이 없는 현대사인지라, 가깝지만 먼 사이라고 할까?

그러던 참에 지인의 추천으로 얼마 전부터 읽기 시작한 책이 있다.

우리의 현대사(임시정부 이후부터 기술된) 이야기로 아직 결말이 나지 않은 책이었다.

읽으며 상당히 충격이었다. 내가 옳다고 생각했던(사실 근거는 없었다. 주위의 어른들의 이야기를 듣고 그게 사실일 거라 믿은 것이었다.), 이야기와는 다른 이야기가 근거자료와 함께 기술되어 있었다.

아마 그래서인지, 서가 명강 시리즈 8번째로 만난 강원택 교수의 "한국 정치의 결정적 순간들" 역시 맥락을 같이 한다는 느낌이 들었다.

정치 이야기를 하면서 왜 대통령 이야기가 제일 먼저 등장하는 것일까?

저자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한다. 우리나라의 대통령제는 보통의 대통령제와 형태가 다르다. 내각제와 대통령제가 혼합된 형태이기 때문이다. 덕분에 우리나라는 대통령에 의해 정치가 심하게 좌지우지되는 경향이 있기도 하고, 대통령제라고 하지만 미국과는 달리 대통령 1인이 상당히 막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물론 짧은 현대사의 기간 동안 독재를 한 경우도 상당했고 말이다.

그렇기에 한국의 정치를 논하려면 제왕적 대통령인 대통령과 그의 역사에 대해 먼저 만나볼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정치에서 빼놓을 수 없는 선거와 정당에 대한 이야기에도 주제를 할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정치 이야기지만 학자답게 이론적 이야기가 적절하게 가미되어 있다. 덕분에 우리의 변형된 형태 혹은 특이한 형태의 정치의 모습을 발견하는 것도 또 다른 재미였다고 할까?

마지막 장에서는 민주화와 촛불집회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어쩌면 우리나라의 독재만큼이나 그에서 벗어나기 위한, 벗겨내고자 목숨을 걸고 나선 시민들의 민주화를 향한 노력은 눈물겹다. 그리고 그 노력 덕분에 현재의 지금이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의 정치사는 굴곡도 많고, 변화의 물결도 있었지만 여전히 정치라는 단어를 되뇌 일 때마다 불편함을 이루 말할 수 없다. 아직도 우리의 정치는 변화해야 할 것이 가득하다.

어쩌면 첫 단추부터 조금은 급하게, 생각보다 준비 없이 시작한 것의 결과물이라고 하기에는 아쉬움이 크다.

권력은 사람을 바뀌게 만든다는 말. 이 말은 어느 누구 앞에서도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말이다.

자꾸 이 말이 잊히지 않는다. 그렇기에 우리는 다시금 변화를 기대하고 준비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