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을 뚫고 시가 내게로 왔다 - 소외된 영혼을 위한 해방의 노래, 라틴아메리카 문학 서가명강 시리즈 7
김현균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일시품절


 

나는 사실 시랑 친하지 않다. 왠지 모를 거리감이 있다고 해야 할까?

시와 담을 쌓는 것을 좀 줄여보고자 올해 목표로 시집 1권 읽기를 세웠다.

다행히 1권이기에 달성을 하긴 했지만... 여전히 시는 쉽지 않다.

그런 내가 우리나라도 아닌 라틴아메리카의 시. 문학을 쓴 이 책을 집어 든 이유는...?

서가명강이라는 4자 때문이었다.

그동안 6권의 서가명강을 만났는데, 걔 중에 어려운 내용도 있었지만 대다수가 흥미 있고, 어렵지 않게 전문지식을 알 수 있어서 만족스러웠다.

그래서 이 책 또한 한 번도 만나지 못했던 라틴아메리카의 문학 이야기지만 왠지 모를 기대감을 가졌다.

이 책에서는 4명의 라틴아메리카 문학에 큰 획을 그은 시인의 이야기가 나온다.

이름조차 생경하지만, 그들의 삶을 이렇게나마 만날 수 있음에 또 다른 매력을 느낀 것 같다.

루벤 다리오(니카라과), 파블로 네루다(칠레), 세사르 바예호(페루), 니카노르 파라(칠레).

각 시인마다 자신만의 색과 성향, 문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문학의 주류(혹은 관심 대상?)라고 이야기하는 유럽이나 미국 등이 아닌 라틴아메리카의 문학이기에 민족성과 더불어 그들 문학의 특징 또한 알 수 있었다.

아무래도 라틴아메리카 하면 떠오르는 그 이미지가 있을 것이다.

나에게 라틴아메리카는 흥 많고, 자유로운 보헤미안의 이미지가 있다.

또한 꽤 오랜 시간을 유럽이나 미국의 식민지 상태로 지내왔기에 우리 민족만큼이나 큰 울분도 가지고 있다.

그런 민족적 기질이 시를 통해 응축되고 터져 나오는데 큰 역할을 한 4명의 시인들은 각자의 개성을 분출하며 자신만의 색을 드러냈다.

물론 이 책에서는 그들의 시도 만날 수 있지만, 그들의 인생이나 삶, 그들의 문학이 라틴아메리카와 세계문학사에 남긴 족적에 대해서도 경험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칠레의 두 명의 시인이 기억에 남는다.

아버지의 반대에 이름까지 바꾼 파블로 네루다(파블로는 칠레에서 너무나 많고 평범한 이름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철수나 영희 같은 느낌 아닐까?)와 그런 선배 시인 네루다에 대해 날카로운 비평을 가하며 독자적인 자신만의 문학의 모습을 개척한 니카노르 파라.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 라틴아메리카에서도 시인의 삶은 가난과 상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길을 걸어갔던 그들의 발자취 속에서 여러가지 감정을 느낄 수 있었다. 자신이 시인이지만 시인이 너무 많은 세대에 안타까움을 토로하며 "길을 가다 아무 돌멩이나 뒤집어보라. 시인 다섯 명이 기어나올 것이다."라는 한 마디가 기억에 남는다.

사실 이 책은 시인에 대한 책이지만, 그 시인들의 시와 더불어 여러 모습을 함께 발견할 수 있어서 독자적인 시집과 다르게 부담도 덜하고 재미도 한층 있었던 것 같다.

물론 새로운 라틴아메리카문학을 만들어내긴 했지만, 걸출한 4명의 시인 이후에 문학은 그들이 만든 문학의 한계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고 하지만 말이다.

전혀 낯선(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분야임에도,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재미있게 익힌 것은 전문가의 포스와 더불어 서가명강이 주는 또 하나의 묘미가 아닌가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