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여전하다! 아니... 좀 더 격해졌다는 말이 어울리겠다.
전작인 신경 끄기의 기술을 읽으면서 사실 상당히 헉~했다.
제목을 포함해서 책에 가득한 내용들이 설마... 혹은 정말 그래도 될까? 하는 수준을 넘어서 사이다 느낌이었기 때문이다.
근데 이번 책의 제목은 무려! "희망 버리기 기술"이라고 한다.
아마 마크 맨슨의 전 작을 읽지 않았다면, 무슨 이런... 하면서 책을 덮었을 지도 모른다.(물론 반어법인가? 해서 궁금함에 책을 열었을 수는 있겠으나...) 하지만, 무려 마크 맨슨이기에 이번엔 어떤 내용으로 허를 찌르는 사이다를 줄지 내심 기대가 되었다.
다행이라면 마크 맨슨이 정의하는 희망은 우리가 생각하는 그 희망의 범주와 조금 다르다.
어쩌면 좀 더 좁고, 집중적이고, 간결할 수도 있겠다.
허무맹랑하고, 가능성이 없는 것, 희망이라는 이름으로 나를 무너뜨리는 그것을 버리라는 말씀이다.
그 희망이 오히려 사람을 더 힘들게 만든다. 희망고문이라는 의미와 어느 정도 상통한다고 할까?
또한 그는 우리의 뇌를 생각하는 뇌(생각 뇌)와 감정을 느끼는 뇌(감정 뇌)로 정의한다.
생각 뇌는 양심적이고 정확하고 공정하고 합리적이지만 느리며 많은 노력과 에너지가 필요하다.
반면, 감정 뇌는 빠르고 쉽게 결론에 도달하지만 과잉반응하고 비합리적이기도 하다.
물론 감정은 행동과 연결되어 있고, 우리는 생각하기 전에 감정적으로 행동할 때가 많다.
자기통제의 모든 문제는 생각보다는 사실 감정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그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우리의 감정 뇌에 의해 일어나는 불필요한 희망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희망을 버리고, 고통을 인정하라. 어쩌면 단순히 이 문장만 읽으면 비관주의자의 글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7장에 보면 고통은 보편상수라는 말이 나온다.
내가 어떤 삶을 살 건 고통은 늘 존재한다. 부자도, 가난한 사람도, 건강한 사람도, 아픈 사람도 삶에는 늘 남이 모르는 자신만의 고통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내가 거부한다고, 모른 척한다고 고통은 사라지지 않는다.
오히려 고통 자체를 인정하면 오히려 삶 속에서 또 다른 성장을 경험할 수 있다.
읽으면 읽을수록 아리송하다. 하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재미있기도, 이해가 되기도 하다.
안타깝게도 한 문장으로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희망을 버리라고 했지만, 사실 희망은 버릴 수 없다. 그래서 오히려 제목이 역설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오히려 강한 부정이 긍정을 말하는 강조가 되었다고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