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칸트인가 - 인류 정신사를 완전히 뒤바꾼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서가명강 시리즈 5
김상환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칸트?!

내 기억의 저편에 고등학교 윤리 시간에 들었던 철학자 중 한 명.

독실한 기독교인이고, 늘 정해진 시간에 산책을 해서 동네 사람들이 시계를 보지 않아도 칸트가 지나가면  시간을 알 수 있었다는 이야기 속의 인물,

이게 바로 내가 칸트라는 인물에 대해 아는 유일한 정보였다.

그런 내가 칸트에 대한 책을 접하게 된 계기는 순전히! 서가 명강 시리즈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출판된 서가 명강 시리즈를 빠짐없이 읽었고, 소장하고 있는데 서울대 교수님들이 한 강의를 기반으로 쓴  책이지만 ~척하지 않고, 나름 재미있고 쉽게 설명했기에 다른 어떤 책 보다 관심이 간다.

바로 5번째 만나는 서가 명강은 서울대 철학과 김상환 교수가 말하는 칸트에 대한 이야기다.

철학이기는 하지만, 그동안의 서가 명강처럼 좀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을 거라는 내 생각은 사실 좌절되었다.

생각보다 쓰는 용어도 너무 어렵고, 전문적이고... 그동안의 책 중 가장 집중도나 가독성이 떨어지는 책이었다.

조금 더 쉬운 용어를 사용했으면 하는 바람이 생겼다.

(저자를 비판하고 싶은 생각은 전혀 없지만, 개인적인 소견으로 어려운 내용을 쉬운 단어로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이 진정 실력자라는 생각을 한다.)

그럼에도 칸트라는 인물에 대해 이 책 한 권으로 관심도가 높아진 것은 인정한다.

윤리 시간에는 사실 암기 위주(수능을 봐야 하기에)로 단시간에 많은 인물들을 접했기 때문에, 내 기억 속에 오래 그리고 진하게 남아있을 수 없었고 그나마 칸트와 연결돼서 기억나는 단어는 정언명령 하나다.

하지만 저자는 칸트의 업적을 상당히 높게 평가했다.

과학의 코페르니쿠스(지동설 주창자)가 있듯이, 철학의 코페르니쿠스의 역할을 했던 사람이 바로 칸트라는 것이다.

그의 저서인 비판서 3권(순수이성, 실천이성, 판단력)이 그동안의 철학의 단면을 바꿔놓았다고 이야기한다.

(여기서 비판의 어원은 "잘라낸다, 가른다"라는 뜻을 가졌다고 한다.)

이 책은 칸트의 비판서를 중심으로 칸트의 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어떤 면에서 칸트가 전회를 이룩한 대단한 철학자인지에 대해 각 권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해나간다.

워낙 쉽지 않은 내용인지라, 완벽하게 이해를 하기는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읽으면서 묘하게 빨려 드는 뭔가가 있었다.

너무 어려우니 그만 읽어야지... 하는 생각을 하고 있는데 다음 페이지로 자연히 손이 간다고나 할까?

그동안 다른 철학자(혹은 철학 이론)는 고대 철학자 말고는 사실 가까이 접하지 못했다.

어떻게 보면 내가 깊이 있게 접한 첫 번째 철학자가 칸트인 것이다.

철학을 전공한 교수 입장에서 많은 철학자 중에서(본인의 전공이 아니면서도) 칸트를 강의(책) 주제로 선정한 것은 그만큼 대단한 가치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저자는 칸트의 이론이 현재에도 계속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고, 현재에도 그의 이론은 여전히 유용하다고 이야기한다. 세대가 달라지고, 문화가 다르면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도 숨 쉬듯 계속 이어진다는 말이다.

이 한 권으로 칸트를 깊이 이해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문제 제기를 할 수 있었다는 것에 만족한다.

그리고 어느 정도 소화가 된 다음에(일독으로는 죽었다 깨어도 이해 못할 듯하다... ㅠ 여러 번 정독이 필요할 듯), 용기가 생긴다면 칸트의 비판서들을 한번 접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