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을 읽으면서
아웃사이더인 인물들에게 왠지 모를 연민의 정이 가는 경우가 있다.
구약의 사울왕이
그랬고, 삭개오의 누이인 마르다 그리고 신약 탕자 비유의 큰 아들 이 그랬다.
왠지 모르게 나는 그
인물들이 불쌍하고, 마음이 가고 그랬다.
이 책의 돌탕집탕은
신약의 탕자 비유에서 돌아온 탕자(작은 아들), 집에 있는 탕자(큰아들)의 줄임말이다.
사실 큰 아들이 왜
탕자인지 이해가 가지 않았다.
엄연히 살아계신
아버지에게 유산을 요구하여 집을 나가 방탕하게 살다 들어온 건 작은
아들이고, 큰 아들은 아버지 옆에서 살면서
자신의 일을 했을 뿐이니 말이다.
한 번도 엇나간 적
없는 모범생이었기에 큰 아들이 화를 내는 건 어쩌면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히려 아버지가 그런
큰 아들을 이해하지 못하고, 작은 아들만 끼고돈다는 생각이 들 때도 많았다.
덕분에 탕자 비유를
읽을 때마다 내 안에는 여러 가지 감정들이 충돌을 일으켰다.
아마 그래서 김양재
목사님이 쓴 이 책을 더 읽어보고 싶었던 것 같다.
도대체 큰 아들이 왜
탕자인 건지!
작은 아들이 탕자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리고 작은 아들은
바닥까지 떨어졌을 때 돌아올 생각을 하게 된다.
작은 아들은 스스로
범한 잘못이 너무나 컸기에 차마 아들로도 아니고 그저 배나 곯지
않기만을 바라고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간다.
워낙 잘못을 했기에,
다른 어떤 것도 원하지 않을 수밖에 없다.
반면, 큰 아들은
행동에서는 작은 아들처럼 도를 어긋나는 행동을 하지는 않았지만,
그 마음속에는 아버지를 떠난 탕자와
같았다. 왜냐하면 그는 아버지를 아버지로 여기기
보다 주인 혹은 책임자로 생각을 해서
아버지에게 마음을 두지
않았다. 또한 아버지와 어떤 교류도 원하지 않았다.
오히려 아버지의 마음을
이해하는 사람은 아들이 아니라, 종이었다.
그리고 큰 아들은
자신을 그 종과 다름이 없다 생각하고 살아왔다.
아버지와 같은 집에
살긴 했지만, 감정적으로 단절한 탕자였던 것이다.
내가 왜 그렇게 큰
아들에게 마음을 쏟았을까 생각해봤다.
나는 지금까지 한 번도
엇나간 적 없이 FM으로 살아왔다. 물론 교회 생활 역시 모태신앙으로 크고 작은 섬김의 자리에서 꾸준하게
봉사해왔다.
하지만 신앙이 좋은 게
아니라, 지극히 성실한 성도였던 것이다.
물론 나 역시 하나님을
만난 감격 속에 살아갈 때가 있었다. 하지만 감사해서 섬기던 자리가 점점 많아지다 보니 어느 순간 일이 되어
버린 경험을 자주 했다.
하나님을 만난 감사는
잃어버리고, 그저 해야 할 일만 남아있는 지경이 되어버린 것이다.
그랬기에 큰 아들의 그
마음이 나는 이해가 되고, 큰 아들의 모습에 내가 투영되어서 큰 아들만 감싸고돌았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