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 - 한강의 기적에서 헬조선까지 잃어버린 사회의 품격을 찾아서 서가명강 시리즈 4
이재열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의미심장하다.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

나는 이 책에서 말하는 에코세대다. 그리고 우리 부모님은 베이비붐세대다.

어쩌면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이 바로 내 세대에 대한, 현재 우리나라 대한민국에 대한 이야기다.

지금까지 재정적인 압박이나 어려움 없이 살았던 것 같다.

그래서 한국에 대한 거부감이나 헬 조선이라는 이야기가 피부에 와닿지 않는 편이었다.

하지만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보니 이 문제는 피부에 들러붙을 정도로 와닿았다.

복직과 어린이집 문제, 육아와 그 관련 비용, 그리고 앞으로 더 커질 교육 관련 비용들...

저자는 우리 사회가 현재 3불 사회(불안, 불만, 불신)에 놓여있다고 이야기한다.

상당히 정확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IMF 이후 고용 및 재정불안, 누구도 믿을 수 없는 불신, 그리고 사회에 각종 문제에 대한 불만들...

요즘 들어 더 이슈화되는 강력 범죄와 그에 무방비 상태로 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들에 이르기까지

어느 것 하나 불안하고 불만을 갖게 된다.

저자는 그런 우리 사회의 문제를 세대 간의 토론의 방법 그리고 복지 선진국(덴마크 등)와의 비교를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한강의 기적을 이룬 베이비붐 세대와 모든 것은 다 누리며 태어난 에코세대.

하지만 두 세대 사이에 생각의 틀과 환경은 너무나 다르다.

모두가 흑수저였기에 개인의 노력으로 충분히 더 나은 삶을 보장받을 수 있었던 베이비붐 세대에 비해, 모든 것이 풍족한 가운데 태어나 더 이상의 성장을 기대할 수 없는 에코세대는 도전에 대한 두려움이 크다.

그리고 그 두려움은 실패하면 다시 잃어 설 수 없다는 참담한 현실과 친구가 되어 안정적인 것 위주로

흘러가게 된다.

불안인 것이다.

또한 우리 사회는 사회와 정치. 정부에 대한 불신이 상당히 크다.

당장 내가 낸 세금이 정말 깨끗하게 쓰이고 있는지에 의문을 나타내는 국민이 상당히 많다.

또한 재앙 수준의 각종 큰 사고들(세월호, 대구지하철, 삼풍백화점 붕괴 등)이 일어났을 때 정부에 안일한 대처를 바라본 우리는 정부에 대해 어떤 것도 신뢰할 수 없게 되었다.

정부뿐 아니라 우리의 이웃 누구도 신뢰할 수 있는가?

수시로 터지는 성폭행, 묻지 마 살인 등이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고 피해자는 누구도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불신사회를 더 크게 만든다.

그렇다면 우리의 3불 사회를 벗어날 해법은 없는 것일까?

저자는 그 해법으로 사회 품격을 이야기한다.

생뚱맞게 품격이라니... 의문스러웠다.

저자가 말하는 사회의 품격은 사회적 합의, 타인에 대한 공감, 제도와 법령의 원활한 작동 등을 통해 사회의 갈등이나 분노를 해결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 사회의 3불이 바로 이런 문제에서 출발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회 속에서 정체성과 행복을 잃고 어느 누구와도 공감하거나 소통하지 못하는 삶.

또한 뭔가를 많이 만들어냈지만 실제로 활용가치가 없고, 오히려 있는 사람을 위한 법규나 제도.

이 모든 것이 바로 우리 사회를 헬 조선으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야기한다.

우리 사회는 타국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갖추어진 것이 많다.

단지 우리의 인식과 생각이 그것을 막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회의 품격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사실 책을 읽으면서 공감하는 부분이 상당했지만, 결론은 조금은 포괄적이지 않은가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어쩌면 우리 사회의 수치화, 경쟁 같은 것에 너무 익숙해져 있어서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세상에는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에는 그만한 노력과 희생기 필요하다.

한 사람이 아닌 여러 사람 나아가 사회 구성원 전체의 노력과 희생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내 아이가 마음 놓고 살 수 있는 내 나라 대한민국이 다시금 살고 싶은 나라, 살기 좋은 나라가 되길 소원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