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디의 결혼 수업 - 어쨌거나 잘살고 싶다면
신디 지음 / 더퀘스트 / 201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린 시절 읽던 동화책의 마지막 장면은 늘 이런 문구로 끝났다.

 

그 후 @@과 ##은 행복하게 잘 살았습니다.

 

아마 그 시절 동화책의 영향도 있을 것이다.

결혼하면 누구나 특별한 노력 없이 행복하게 잘 살수 있을 거라는 막연한 기대 말이다.

 

하지만, 결혼은 실전이었고 책처럼 아무 노력 없이 행복이 선물처럼 주어지지 않았다.

이 책의 저자 신디는 이야기한다.

육아를 위해서 책을 찾아보고 공부도 하면서, 결혼생활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공부하지 않는다고...

신부수업은 있어도, 결혼 수업은 없다고...

서로 다른 두 남녀가 결혼이라는 행위를 통해 같이 살게 된다.

아무리 사랑하는 사이라도(결혼에 사랑이라는 요소가 들어온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우리나라만 해도  내 할아버지 세대는 얼굴도 못 보고 결혼한 사람이 대부분이었다고 하니...) 서로 다른 습관과 생각과 가치관을 가지고 살다 보면 자연스레 부딪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이미 결혼을 했고 이혼 생각은 없고 제목처럼 어쨌거나 잘 살고 싶다면 결혼에 대해 충분한 공부가 필요하다.

아니 결혼이라기보다는 상대라는 말이 더 알맞겠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배우자가 적은 아니겠지만 상대의 성향과 나의 성향을 안다면 이해를 하게 되고,

이해를  하게 되면  적어도 싸움으로 번질 일이 조금은 차단될 수 있다.

 

나 역시 이 책을 읽으면서 내 성향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그리고 나와 내 배우자는 반응하는 모습이 정 반대였다.

신혼의 시기가 지나고(?) 육아에 본격 투입되면서부터 우리는 그런 부딪침과 서로를 향한 비난의 횟수가 많아졌다.

물론 일차적인 이유는 서로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읽을수록 100%는 아니지만 적어도 상대를 이해할 수 있는 주변 환기가 되었다.

그리고 책에서 이야기하듯이, 체크리스트에 체크를 해서 선물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내 모습을 알았고, 내 모습은 이렇다는 것을 상대에게 알려준다면 그 역시 나와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들어서다.

 

이 책은 현재 삐걱 되기 시작한 부부뿐 아니라 연애를 하고 있는 그리고 앞으로 결혼을 할 예정인

예비부부를 위해서도 나왔다. 그러기에 누군가와의 진지한 관계를 생각하고 있다면 일독을 권한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