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를 찾아서 - 개정판
한병철 지음 / 뿔미디어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상에서 '고수'라는 단어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

가끔 달인이라고 하기도 하지만,

그저 '내공이 보통이 아니시군요'정도로 내 뜻을 전달한다.

 

이 책의 451쪽에 보면 고수와 하수를 구분하는 근거로 '공력'을 드는데, 그게 내가 말하는 내공과 일맥상통하지 않을까 싶다.

공력은 외공과 내공으로 나눈다는데,

외공이 무엇인가를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만, 내공이 무엇인가를 정확하게 설명해 낼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단다.

향싼 종이에서 향내가 나고 생선 싼 종이에서 비린내가 나듯, '내공은 외공으로 발현'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빈수레는 유란스럽게 라도 자신의 존재가치를 알려야 살아남을 수 있는 법이고,

벼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이는 것은 이삭이 여물었기 때문이다.

 

몸을 움직이는 걸 엄청 싫어하기 때문에,

이 책을 무림의 고수들만을 다루고 있는 책인 줄 알았다면 시작하지 않았을 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소싯적 장르소설을 읽게 된 계기가 무협지가 시발점이어서 인지,

아님 내 안에서 매순간 대결본능을 불 태우며,

그동안 살아왔던 삶의 매순간순간을 전투적(?)으로 살아서 인지, 재미있게 읽었다.

 

어떤 의도로 기획되고 만들어졌는지는 모르겠지만,

읽으면서 느낀 것은,

이 책의 내용들이 무술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삶 전반에 걸쳐 통용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보통 무술의 종주국 하면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정도를 들 수 있는데,

저자 같은 경우, 중국에 그리 호의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고 잘못된 판단은 아닌데,

어느 누구보다 가까이서 다양하고 깊숙하게 접해봤기 때문에 주저없이 의견을 피력하는 것일 게다.

 

과거 중국 공산화 이후에 한국에 들어와 살던 중국 화교들은 중국 무술이 자신들의 생의 수단이될 수 있음을 간파했고, 한국인들에게는 조금씩 변형시킨 무술을 가르쳤다. 간단히 말하면 고의적으로 기술을 변형시켜서 잘못 가르쳐 주었다는 뜻이다.

그 이유는 중국 무술의 진전을 전해 주면, 자신들의 생계 수단이 사라질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토의 정통 쿵후와 한국 내에서 전파된 중국 무술의 형태가 조금 달라지게 되었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68쪽)

 

중국이라는 나라는 한국과 조금 달라서, 소개와 꽌시(關係, Relation)가 없으면 잘 만나 주지도 않고, 만나더라도 수박 겉핥기 식의 인사와 덕담만 나누다 끝나게 된다. 이게 중국인들의 인간관계의 특징이다.(177쪽)

 

반면, 일본의 경우 '오륜서'의 '미야모토 무사시'를 엄청 추앙하고 숭배한다.

 원래 기적이라는 것은 믿는 사람에게만 적용되는 것이다. 합리적으로 생각한다면 그냥 택시 운전하는 어떤 노인이 택시를 태워주었다는 것만이 이성적인 진실이지만, 무사시가 나를 택시에 태워 주었다고 믿고 살아가는 것이 인생은 더 재미있다.(371쪽)

이것은 아무래도 국민성이나 무술의 종주국 따위를 놓고 비교하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추구하고 전수받아 행하는 무술을 최고라고 생각하는 자부심에 관한 것이지 싶다.

 

이 책이 아쉬웠던 것은 '마르스'라는 잡지를 만든 사람이라는데,

문장의 호응관계가 적절하지 않거나 비문 따위가 눈에 띈다는 것이지만,

군데군데 글이 맛깔스러운 것이 필력은 돋보인다.

 

하지만, 내가 저자를 높이 살 수 있었던 건,

검을 얘기하며 살심(殺心)을 얘기하는 부분에서,

사람의 목숨을 먼저 배려했다는 것이고,

아래 문단에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듯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결코 소홀히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연인과의 관계보다 멋지다, ㅋ~.

  한풀 선사와 내가 앞으로 어느 장소, 어느 시간에 다시 만나게 될지 모르지만, 나는 지금도 한풀 선사와 멀리 떨어져 있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공간적 거리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내가 그를 느끼고 있듯이, 그도 내가 어디서 무엇을 하고, 무엇을 생각하는지 느끼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된 것 아닌가.(125쪽)

 

그동안 바둑이나 장기 따위도 그렇고 이런 무술을 향해서도, 전쟁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었다.

그런데 사람의 목숨을 이렇게 배려하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의 그것이라면,

전쟁이 아니라 평화, 다시말해 '힘의 견제'라고도 할 수 있겠다.

 

그러고보니 바둑판이고 장기판이고, 무술을 대련하는 장이고, 전쟁터이고 간에,

대결이란 공력이 비슷할때 이루어지는 것이지, 한쪽으로 치우치면 의미가 없어진다.

 

그렇다면 공력의 차이, 고수와 하수의 차이는 무엇일까?

저자는 이렇게 얘기하는데, 난 완전 동의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저자도 책의 말미에서 노자를 멋들어지게 인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단 고수의 지도는 명쾌하다. 어리바리, 두루뭉술, 뜬구름 잡듯이 애매모호하게 가르치지 않는다. 그래서 고수 밑에서는 하루를 배워도, 여기저기서 어깨 너머 일 년 배운 것보다 낫다.

  괜히 뜬금없이 도교 얘기나 꺼내고, 윤리학 강의 같은 것이나 하는 지도자는 사이비일 가능성이 높다.

  간단히 생각해 보라. 무술 연습하기에도 부족한 게 인생이고 시간인데, 제자를 붙잡고 도교 얘기나 하면서 허송생활할 시간이 어디 있겠는가.

  그리고 도교 얘기하는 한국 무술인들의 대부분이 도덕경, 황정경, 옥추경 등을 읽어 보기는커녕 구경도 못 해 본 사람이 대부분이다.

  그들은 공부 안 하고 하늘 쳐다보며 그저 멍하니 있는 게 도교적 생활로 착각한다.

  두 분 교수님들은 평소 생활이 검소와 무소유를 실천하며 유유자적하게 사시지만, 한 번도 도교 얘기나 애매한 표현은 하지 않으신다. 그래서 문 교수님의 흰머리가 더욱 도사 같다.(202쪽)

 

무엇보다 이 책이 좋았던 것은, 공력을 얘기하며 파동을 언급한 부분이었다.

어떤 책들은 보게 되면 물리학이나 양자역학 따위의 이론으로 접근하려 해서 너무 어려웠다.

그런데 이 책에선 몸소 겪은 체험으로 얘기하고 있다.

이해못할 것이 없다.

 

  그간의 공부에 의하면, 이런 공력을 발출하는 것은 파동이다. 하급의 발경 시범은 그저 몸의 무게중심을 맞추고, 뼈 골격을 일직선상에 맞춘후에 몸힘(整經)으로 밀어내는 것이다.

  하지만 진정한 내경의 발출은 그런 눈속임이 아니다. 물리적 에너지를 가진 강한 초음파 진동 같은 것이 내 몸속으로 침투하는 것, 이것이 진짜 내공의 힘이다.

 이런 경지에 가려면 온몸의 세포 하나하나까지 진동하고, 그것을 느끼고, 그 진동이 한군데로 모이고 증폭되어야 한다.(454쪽)

 

무술을 연마하는 것도 그렇고, 고수가 되는 것도 그렇고,

혼자 살면 다 필요없는 것들이 아닐까?

그래서 인간은 더불어 어울려 사는 것일게다.

지극히 인간 중심의 편협한 사고인진 모르겠지만,

지금 이 순간만큼은 그렇게 믿고 말하고 싶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10-11 19: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양철나무꾼 2016-10-17 16:51   좋아요 2 | URL
그렇네요, 투명사회의 그 `한병철` 님과 동명이인이네요~^^
이런 종류의 책들이 많아서,
그리고 자신의 무술만이 `쾩오~`라고 자화자찬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말예요.

그래도 한병철 님은 수준 이상의 무술과 글솜씨를 구사하신답니다~^^

cyrus 2016-10-11 21:13   좋아요 1 | URL
저는 제 자신을 `재수`라고 생각합니다. 아주 가끔 `재수` 좋으면 고수 소리를 듣고요, 대부분은 `재수` 없어서 하수 수준에 불과합니다. ^^

양철나무꾼 2016-10-17 16:54   좋아요 1 | URL
저도 제 자신을 `재수`라고 생각하는데 말이죠.
그냥 재수도 아니고 이왕 이름 붙일 거 `왕`재수라고 생각합니다.
재수 좋으면 `럭키`하다는 소리를 듣고,
보통 대부분은 `왕 재수`라는 소리를 듣는데...그러려니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