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적 논어 읽기 - 현대 심리학의 눈으로 본 논어
김명근 지음 / 개마고원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임종수 님의 논어쓰기 이후 전작 읽기라는 못된 습관의 연장선 상이기도 하지만,

하루가 멀다하고 쏟아져 나오는 많고 많은 책들 가운데 읽을만한 책이 없다는 시큰둥함 때문이기도 하였다.

집이고 직장이고 적당한 빈 공간이 생기기가 무섭게 책들이 이렇게 저렇게 엮여 탑을 쌓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읽을만한 책이 없다고 툴툴거리게 되는 것은,

문득 여지껏 살아온 날보다 앞으로 살아갈 날이 많지 않다는 시간의 유한성을 깨달았기 때문이고,

그러다 보니 책만 읽다 죽는다고 해도 내가 가진 책의 10퍼센트를 다 못 읽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고,

책을 골라 읽게 되었고,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고전이라고 하는 것들에 주목하게 되었다.

 

하지만 고전 읽기도 만만한 것이 아니었다.

호기로운 시도와는 다르게 금세 밑천이 바닥나 버렸다.

책을 읽다가 궁금한게 생겨도 물어볼 곳이 마땅치가 않았으며,

해석을 잘못하거나 논리의 미궁으로 빠져들어 헤어나지 못해 버벅거리면서도 깨닫지 못했었다.

 

동양 고전을 공부하려는 시도는 좀 되었다.

그때마다 저자를 달리하여 여러 종류의 논어를 시도하였었지만 흐지부지해지곤 했었는데, 그 이유가 해석이 맞는다는 확신이 들지 않아서 였다.

 

저자들의 이름을 달리할때마다 저자 나름의 해석본이 탄생하곤 했었는데,

과연 이 해석본들이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 살았던 시대의 '논어'의 그 원뜻에 가까운지 하는 의문이 생겼었다.

만약 너무 오랜 세월이 흘러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 살았던 시대의 '논어'의 원뜻을 헤아리는데 실패했다면,

차선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게 오늘날에 맞게 적용시키는 것이라는 나의 견해와는 다르게,

저자들은 자신의 주체적인 가치관이란 없는 사람들마냥 '어느 스승님 문하에서 사사받았는지'만을 크게 얘기하고 있었는데,

그건 스승님의 명성의 크기이지 자신이 이룬 학문적인 성과라고 할 수 없어서 아쉬웠던 차에,

이 책 '이기적 논어 읽기'를 발견하였다.

 

김명근의 가치관이 확고하게 서려 있었던 이 책은,

유명인사나 학자들의 명성을 답습하지 않았다는 면에서는 신선하고 좋았지만,

책을 읽는 내가  '독자로서' 명확한 가치관과 주체성을 확보하지 않는다면,

오독으로 인한 편견이나 선입견의 늪에 빠져 버릴 수 있는 다소 위험한 책이었다.

 

그걸 책 머리에서 이렇게 밝히면서 시작한다.

  흔히 논어를 도덕에 대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그래서 더 흥미를 느낀다. 동양이나 서양에서 도덕은 욕망을 조절하는, 더 정확하게는 욕망을 억누르는 기준으로 작용해왔다. 그런 억제가 있어야 욕망이 조절된다고 봤다. 하지만 현대 심리학의 설명은 다르다. 욕망을 억지로 누르면 그림자니 뭐니 하는 복잡한 괴물이 되어 나타나게 된다는 결론이다. 공자가 말하는 도덕이라는 것이 과연 욕망의 억제를 말하는 것이었을까? 셋 중 하나는 거짓이다.ㆍㆍㆍㆍㆍㆍ나는 공자가 말하는 도덕이 욕망의 억제를 말하는 것이 아니었다는 쪽에 걸겠다. 기존 유학의 논어 해석을 믿지 않겠다는 것이다.(8쪽)

기존 유학은 논어를 '욕망을 다스려 군자에 이르는 법'을 담은 책으로 봤다.

그렇다고 나이 칠십에 이르니 욕망대로 살아도 도덕적인 삶에서 어긋나지 않더라는 공자의 삶을 놓고,

기존 유학의 논어 해석은 틀린 것이라고 하는 김명근의 견해에 공감한다고도 하지 못하겠다.

 

이 책의 제목처럼 '이기적'으로 욕망대로 산다고 해서 그것이 꼭 도덕적인 삶의 대척점에 있는 것은 아닐 수 있으며,

공자처럼 성인이 아니어도 나이 70이 지나면서부터는 어찌 살아도 도덕적이거나 자연의 그것에 점점 가까워지지 않을까 싶다.

 

殺佛殺祖,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이라는 말이 있다.

정확한 뜻을 헤아릴 깜냥은 아니지만,

내 안에 있는 부처나 조사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을 죽이고, 있는 그대로의 부처와 조사를 받아들이라는 의미가 아닐까 싶다.

 

마찬가지로 이기적으로 논어를 읽겠다는 것 또한 내 안에 있는 논어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을 버리고,

논어가 읽히고 받아들여지기를 바라는 대로 논어를 읽어야 한다는 의미로 나름 받아들였다.

 

그런 의미에서 김명근의 그것들이,

때론 확고한 가치관으로 읽히기도 했지만,

때론 또 다른 편견과 선입견을 낳을 수 있는 여지가 있어서, 혼란스러울 때도 있었다.

 

다른 해석본과 큰 차이가 없는 듯 보이는 '이인,12장'을 언급하며,

"(모든 일을) 이로움에 의지해 행하다 보면 원망을 많이 하게 된다." 이게 바른 해석이다.(39쪽)

이라고 하는가 하면,

보통은 이 문장을 어짊仁을 제대로 이루는 것이 그토록 힘들다는 쪽에 초점을 맞춰서 해석한다. 물론 그 뜻도 옳다. 하지만 어짊이라는 하나의 잣대로 모든 것을 재지 않는 공자의 태도 역시 주목할 가치가 있다. ㆍㆍㆍㆍㆍㆍ비슷한 문장이 또 있다.ㆍㆍㆍㆍㆍㆍ'명을 받지 않았다'는 의미는 '벼슬을 하지 않았다'로 보는 해석이 옳을 것이다.(90~91쪽)

이 문장에서 선진과 후진에 대한 해석은 구구하다.(108쪽)

궐闕은 '줄이고'로 해석하는 편이 옳다.(125쪽)

정도는 평범한 축에 속한다.

 

'이인,1장'을

어짊에 처함이 아름다음을 이루니 어짊에 처하지 않으면 어찌 지혜를 얻겠는가.

子曰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이인里仁의 이里는 '마을'이라는 명사가 아니라 '처한다'라는 동사다. 하지만 주석을 보면 이里를 '마을'이라는 명사로 취급하는 경우가 더 많다. "마을이 어진 것이 아름다우니, 어진 곳에 처하는 것을 택하지 않으면 어찌 지혜를 얻으리오"로 해석하거나, 혹은 "어진 마을에 살지 않으면 어찌 지혜롭다 하리오(지혜롭다는 평을 얻으리오)"로 해석한다. 어짊은 무언가 감성적인 것이고, 지혜는 이성적인 것이니 안 맞는 느낌이 있어서 그렇게 해석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발달심리학 ㆍ인지심리학 등의 연구 결과는 감성과 이성이 물밑 거래를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277쪽)

정도가 되면 오독의 냄새가 풍기는 것이 편견이나 선입견 따위의...좀 위태로운 느낌이 드는데,

개인적으로 리링의 '집잃은 개'의 해석에 한표를 던지겠다.

 

'공자는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했던 어짊이나 도를 닦는 것에 대해서도, 이를 절대적인 하나의 잣대로 들이밀지는 않는다. 어짊은 아직 못 이루었어도 자신의 제자요, 나름 능력이 있고, 각자 모자라는 구석도 있으나 다 취할 장점이 있다. 도에 아무리 가까이 가도 배를 곯는 것은 여전히 안타깝다. 이런 것이 여러 잣대를 동시에 인정하는 태도다.(92쪽)' 라는 김명근의 말을 인용하지 않더라도,

공자가 멋진 것은 나이 70에 이르러 자신의 ego가 고착될 나이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강요하거나 자신만의 가치관을 강요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 가치관과 고집을 혼동하게 되면 괴팍하거나 고집불통이라는 인상을 주기 십상이다.

 

가치관을 확립한다고 하다가,

자신이 만든 가치관의 틀에 갇혀 허우적거리지 말고,

마음과 귀를 열고 생각은 유연하게 하여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받아들이는데 인색함이 없도록 하여야 겠다.

 

논어를 끝까지 다 읽지 않은 사람도 學而時習之 不亦說乎는 안다.

배우고 때로 익히면 즐겁지 아니한가!

예전엔 이 말의 의미를 잘 몰랐었는데, 이젠 이 말이 단지 학문의 즐거움만을 얘기하지 않는다는 걸 알겠다.

한창 학교를 다니면서는 배우고 때로 익히는 즐거움에 대해서 잘 알지 못했었는데,

나이를 먹어가면서 배우고 익히는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선 전제조건이 필요하다는 걸 절감한다.

어려운 말로 하면 時習이겠고,

바꿔 말하면, 마음을 열고 배우고 익히고 받아들일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겠다.

뭐 거창한 것은 아니고, 고착되지 않은 유연한 사고정도 되겠다.

내가 유연하고 말랑말랑해야만, 상대방과의 공감과 소통이 가능할테니까 말이다.

 

혹자들은 이 時習을 두고, 배움에도 적절한 때가 있다고 한다지만,

나도 김명근처럼 꾸준한 반복 학습 으로 해석하고 싶다.

 

이 책은 위에서 얘기했던 것처럼,

김명근 나름의 독자적인 해석이라는 면에서 신선하고 좋았지만,

책을 읽는 내가 '독자로서' 명확한 가치관과 주체성을 확보하지 않는다면,

오독으로 인한 편견이나 선입견의 늪에 빠져 버릴 수 있는 다소 위험한 책이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고전이고 신간이고, 를 떠나서 책이란 깊이나 넢이 어느 한방향으로만 흐르면 안되는가 보다.

살 날은 얼마 안 남은 듯 한데, 갈 길이 먼 믓하여 자꾸 분주해진다~--;

 

 

(고칠 곳)

뚜렷이 담고 싶은 인물이=>닮고 싶은(74쪽)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2-18 04: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2-22 18: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서니데이 2016-02-20 21:24   좋아요 0 | URL
양철나무꾼님, 주말이 되었어요. 한주 바쁘게 보내셨을텐데, 편안한 주말 보내세요.
참, 제 서재에서 요즘 퀴즈 있어요. 시간되실 때 놀러오세요.^^

양철나무꾼 2016-02-22 18:03   좋아요 1 | URL
네, 마실 가보겠어요~^^

2016-02-26 00:5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