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 별은 어떻게 내가 되었을까 - 지구, 인간, 문명을 탄생시킨 경이로운 운석의 세계
그레그 브레네카 지음, 이충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4년 12월
평점 :
“운석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한 물체로, 지구와 우리의 문화를 만드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아무리 시도해도 단한권도 끝까지 읽지 못하는 새해 새날들을 보냈다. 그래서 이 책이 구원 같다. 불안을 달래주는 문장들이 고마웠다. 현재와 현상이 힘겹고 답답할 때, 나의 근원과 우리의 근원과 세계의 시작으로 가보는 시공간여행은 특효약이었다.
아주 오래 아이디로 사용한 ‘재활용된 별먼지’는 더 오래 전 책*에서 배운 것이다. 우주와 지구와 나의 구성성분에 대해 처음 배우고 동질성에 놀라고 인간이 경험할 수 없는 시간 단위로 상상하는 방법과 힘도 배웠다. 동요와 신화와 종교의 많은 이야기들이 천문학으로 번역되었다. * <코스모스> 칼 세이건
“운석에는 태양보다 오래된 다이아몬드와 오래전에 폭발한 행성계의 잔해가 포함돼 있고, 심지어 일부 운석에는 놀랍게도 생명의 기본 요소인 아미노산과 상당량의 물도 들어 있다.”
오래된 돌들은 좋아하지만, 천체물리학과 천문학을 전공하지 않아서 운석에 대한 관심과 이해는 깊지 못했다. 운석이 무엇인지 설명해주는 책에 설렜다. 운석이 화석이고 데이터이고 대답이 되는 과학의 발견과 이야기가 경이로웠다. 운석 연구가 왜 ‘우주 법의학’인지 배우게 되어 즐거웠다.
“나중에 도착한 이 운석들은 (...) 생명의 발달을 촉발한 유기 물질과, 심지어 현재 지구에 있는 물도 공급했을 가능성이 있다.”
알던 내용이지만 달의 탄생과 지구의 변화 내용은 언제 다시 읽어도 두근거린다. 내가 아는(?) 가장 극적인 사건 중 하나다. 그 사건 덕분에 지구는 다양한 생명체들과 인류가 생존 가능한 환경이 되었다. 어릴 적엔 그저 무서웠던 운석이 이 책을 통해 구체적인 형태와 정보를 가진, 중요한 존재가 된다.
어릴 적부터 하늘 올려다보기를 좋아했고, 천자문 시작이 ‘하늘이 검다’여서 좋아하는 독자에게, 기록과 증거가 남은 인류의 가장 먼 역사부터, 인류가 천체 현상과 운석에 어떤 영향을 받고, 상상하고, 대응하며 변화해왔는지 역사적으로 살펴보는 내용은 더없이 흥미롭다.
“어떤 종류의 운석들은 45억 년 전에 생성된 이래 한 번도 녹은 적이 없으며, 따라서 태양계 탄생의 단서를 담고 있는 훌륭한 타임캡슐이다.”
“생명이 ‘어떻게’ 그리고 ‘왜’ 나타났느냐는 질문”에 관심 있는 이들이 반길 책이다. 더구나 매혹적인 과학적 사실들을 수식이 아닌 이야기로 만날 수 있다는 것과, 과학서를 반기지 않는 독자들도 역사서를 읽듯 재밌게 즐길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06/pimg_739190168456004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06/pimg_739190168456004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