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본 것 - 나는 유해 게시물 삭제자입니다
하나 베르부츠 지음, 유수아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부터 내가 헥사에서 일한 수개월간의 경험을 말해줄게요.”

 

소설인데, 중대 발표문을 듣는 것처럼 입 꾹 다물고 문자에서 전해지는 육성을 들었다. ‘유해게시물을 분류하는 기준들이 너무나 세세해서 오히려 그물의 구멍이 넓게도 느껴진다. 문득 내가 생각한 유해성과 법에서 규정한 내용이 어떻게 다른지 한국의 상황이 궁금해지곤 했다.

 

애초에 왜, 어떻게 이 일을 시작하게 되었는지를 아셔야 할 것 같아요.”

 

주인공이 입사한 회사의 사례들을 읽으며 때론 심장이 격해져서 피가 어디론가 솟구치는 기분이 오가곤 했다. 중간 중간 책갈피를 잠시 끼우고 눈을 떼고, 이건 사실이지만 소설이라고 이상한 격려를 자신에게 했다. 슬프고 아픈 이들은 도대체 얼마나 많은 걸까. 얼마나 방치되는 걸까.

 

하루 종일 유해게시물과 관련 단어들을 삭제하는 이들이, 차별주의적인 유머를 사용하는 것은 소설이라 더 현실감이 있는 아이러니다. 윤리와 도덕을 연구하는 학자들 중에서 PC에 대한 지독한 비난을 농담 삼아 하는 이들이 있듯이. 더구나 자극에 무감해진 그들이 더 자극적인 영상을 찾는 이야기는 문제의 복잡성을 더 잘 느끼게 한다.

 

그냥 더 이상 인간 같다는 느낌이 들지 않을 뿐이야.”

 

유해게시물이 생성되는 속도와 분량만 따지다보면, 세상에는 이런 게 너무 재밌거나, 구매자가 너무 많아서 엄청난 자본이 유통되거나, 인간관계에서 신뢰란 어떻게 신뢰받을 수 있는지 정신이 멍해지곤 한다. 규정에 따라 게시물을 삭제하거나 위험 신고를 하는 직업이 생겼다는 건 개선일까 광기일까,

 

그 금요일에 정확히 무슨 일이 벌어졌고 어떤 말들이 오갔는지를 말씀드릴게요.”

 

영리한 작품은 일상적인 듯 무심하게 전개되면서, 서서히 우리가 안전하다고 믿는 경계를 어느새 허물고, 독자는 천천히 중독되어 호흡이 거칠어져서야 유독성을 깨닫게 된다. 다소 우스꽝스러운 버추얼 세계는 필요 없을 만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세계는 어느새 경계를 허물었다.

 

내가 아는 한 너무 심한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고 말이에요. 아니, 오히려 너무 별 게 없었죠.”

 

삭제자와 피해자와 가해자의 경계도 마찬가지다. 매일 유해게시물을 보고 산다는 것은 어떤 의미이며, 어떻게 정신건강을 지켜야할까. 이렇게 짧은 소설, 작은 책에서 두려울 정도로 복잡하고 큰 경고음을 듣는다. 나는 점점 더 무섭다. 단순하고 폭력적인 발언이 힘을 얻는 현실이, 정상과 비정상이 굳건하게 분류되는 사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