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등대
김민환 지음 / 솔출판사 / 2024년 5월
평점 :
‘동학사상’에 대해 잘 모르고 산다. 대학시절 이후로도 여러분들이 언급하시고, 백낙청 선생님도 꾸준히 언급하시지만, 진지하게 공부를 해본 적이 없다. 소설이라면 간접체험을 하게 해줄 거란 기대가 컸다. 일상의 태동으로서 사상을 만나보고 싶었다.
“동학이란 것이 대체 무엇인가? 공부하는 사람들로서, 그것이 뭣인지는 알아둘 필요가 있지 않겄는가?”
소안도라는 생활공간에서 각자의 사연을 가진 이들이 시대와 어우러지며, 개인사를 써내려가듯 이야기가 전개된다. 동학은 소개되는 단계이나, 이를 핑계로 작은 권력을 가진 이들은 제 출세의 기회로 누군가를 희생시키려 한다.
“동학에서는 ‘나’가 주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여.”
옷조차 제대로 챙겨 입을 줄 모르던 일본인들을 무시하면서도 같은 섬에서 함께 살아가던 조선인들은, 시대가 변하고 입장이 바뀌고 문물이 달라지는 변화에 충격을 받고, 각자의 신념대로 반응한다.
“성냥도 석유등에 버금갈 만큼 생활에 이로웠다. (...) 처음에 사람들은 성냥을 도깨비불이라고 했으나, 원료인 석유황을 빨리 발음한, 성냥이란 말로 굳어졌다.”
갑오년이 지나고, 시대적 갈등이 더 깊어지고 심화되면, 늘 마주하게 될 참담한 상황이 소안도에서도 일어날 거란 생각에 조금 기분이 무거웠다. 얼마나 죽고 죽이는 비극이 일어날 것인지. 그런데! 이야기는 그런 전개가 아니었다. 악의를 가진 인물, 화해할 수 없는 입장들이 부딪치긴 했지만 작은 섬의 작은 언덕 같은 고저로 해소되곤 했다.
“헤어지자는 말은 가라는 말이고, 또 만나자는 말은 생각을 돌이킬 시간을 주겠다는 말이다.”
육지의 상황과 사람들의 반응은 더 격렬하고 상대적으로 소안도의 갈등은 불가능과 원수를 대적하는 필사적인 분위기는 없었다. 뜻을 가지고 올바르게 살기 위해 터전을 찾은 이들의 삶터이기 때문일까.
속 시원한 사이다보다, 어렵게 고민하고 조금씩 합의를 보는 과정이 더 좋은 나로서는 그들의 결론이 궁금해서 놓지 못하고 계속 읽을 수밖에 없었다. “등대”(로 상징되는 무언가)를 부수자는 결정은 내가 생각한 상징의 의미였을까.
동학에서 말하는 선천시대가 가고 후천시대가 오는 모습이, 성별과 민족으로 완벽하게 갈라지지 않고, 서로를 사랑하고 함께 삶을 만들어가는 모습이라면, 동학은 초기의 평등사상처럼 친절하고 이타적인 이들의 아름다운 꿈처럼 고운 개념이다.
해를 입을까 마음 졸이면 지켜본 소설 속 인물들이 나는 만나본 적 없는 소안도의 주민들 같기도 했다. 꼭 생각도 삶도 사랑도 나눌 이들과 함께 많이 웃으며 어려운 시절을 잘 사셨기를 바라는 마음이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