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되다 - 인간의 코딩 오류, 경이로운 문명을 만들다
루이스 다트넬 지음, 이충호 옮김 / 흐름출판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지능이 매우 뛰어나고 유능한 유인원 종인 한편,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큰 결함이 있다. 인간 이해를 위한 종합 교과서 같은 이 책은 시작부터 시원하게 할 말을 다 하고 상세 설명을 펼친다.

 

기대하고 이상화한 내용과는 달리, 인간의 뇌는 완벽한 합리적 사고와 거리가 멀고, 인지 결함과 버그도 넘쳐난다. 이는 경험적으로 증명된 바가 무수하다. 중독에도 취약하고, 자기 파멸의 길도 걷는다.

 

그런데 이 많은 결함은 약점이나 부작용의 결과가 아니라 진화 과정에서 타협한 산물이다. ‘생존이 너무나 중요한 나머지, ‘완벽을 추구할 여유가 없었다.어떻게든 해나가고 살아남을 수밖에 없는 제약이 생존 조건이었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하는 오랜 질문에 이 책은 모든 능력과 제약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결과라는 답을 제공한다. 아프리카의 조상으로부터 크게 진화(변화)하지 않은 채,생리와 심리의 거의 모든 측면은 10만 년 전과 동일하다. , 사람을 정의하는 기본 측면은 전혀 변하지 않았다고 한다.

 

환원주의에는 경계심이 강한 편이지만, 설명의 신빙성과 설득력은 관련 연구 데이터와 결과를 살펴보고 판단하면 될 일이다. 인류학과 사회학의 최신 연구들은 어느 소설보다 흥미롭다. 재밌어서 빨리 더 배우고 싶은 조바심과 분량이 줄어드는 아까움 사이를 왕복하며 밑줄을 죽죽 그었다.

 

샘플북의 1장은 우리 자신의 진화 - 문명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돌아보는 내용이다. ‘무리(짓는) 편향과 초능력과도 같은 생존에 필수였던 협력 능력이 진화적으로 동일한 능력 발현이라서, 쓴 웃음이 나고 어깨에 힘이 빠진다.

 

완벽하지 않은 인간의 문명은 반응성 공격성을 줄이고 순행 공격성을 남겼는데 - 두 공격성을 문명 이전의 존재처럼 가진 이들도 여전히 있지만, 인간은 잔인한 동시에 상냥하다는 것에 아무 모순이 없어서 허탈하기도 하고 정신적 경직이 풀리기도 한다.

 

독재를 견제하기 위해서 언어와 무기가 동시에 필요한 상황, 공격성을 증대시키고 적은 비인간화하는 목적의 군사훈련시스템, 경계 내의 폭력 사용을 독점 행사하는 조직체로서의 국가, 이 모든 것이 협력의 산물로서 문명의 모습이기도 하다는 것이 서늘하다.

 

자산 교환의 한 형태로서 상호 이타성미래 투자로서의 유대를 생물학적으로 매개하는 옥시토신이 만든 신경화학반응인 우정, 진화적 도움이 필요한 시기를 대비한 보험으로서 진정한 친구까지, ‘인간은 몸이다라고 생각했지만 생물로서의 인간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전무했다고도 느낀다.

 

실망과 절망은 아니고, 오랜만에 과학이 전하는 맹렬한 실체에 존재가 광광 울리며 배우는 기분이다. 싸늘하고 쓰리지만 재밌다. 1장 분량인데, 벌써 다 소개할 수 없는 내용들이 아쉽다. 특히 뒷담화가 인간 문화와 사회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 정교하고 핵심적인 진화 결과물인가는 충격적이다.

 

요즘 활발히 명명되는 도파민은 역시 강력하고 다양한 영향력 - 처벌의 즐거움과 사회적 결속 - 을 미치는 요인이며, 도덕성과 종교와 법체계의 기능에 대해서도, 진화와 문명의 관점에서 다시 보며, 독자로서 답을 고민해본다

 

- 인간의 본성은 평화적인가 폭력적인가

- 독재를 견제하기 위한 협력 체계를 진화시킨 인간 사회에 계층화가 심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정식출간본에 이어질 상세 내용은, 가족, 풍토병, 유행병, 인구, 마음을 변화시키는 물질, 코딩 오류, 인지 편향이다. 1장에 비추어 여전히 흥미로울 거란 기대가 크다. 이 책이 제공할 빅히스토리에서 촉발될, 인류가 자신의 문명을 바라보는 시점의 진화가 개인과 사회적 규모 모두에서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